3.147.103.8
3.147.103.8
close menu
KCI 등재
대입 수험생의 낙관성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Testing the Mediator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s, and Teachers in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Internalizing Problems
신현숙 ( Hyeonsook Shin )
상담학연구 7권 2호 485-503(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207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대학 입시를 앞둔 수험생의 낙관성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삶의 지향성 검사,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K-YSR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을 예언변수로, 내재화 문제를 결과변수로, 부모의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욱 적 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낙관성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로부터 받는다고 지각한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았고, 부모 의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 수준이 낮고, 낙관성 수준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 수준이 낮았다. 그러나 낙관성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친구로부터 받는다고 지각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낙관성 수준이 높을수록 친구의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았고 내재화 문제 수준은 낮았으며, 친구의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 수준이 낮았다. 낙관성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효과 가 유의하였다. 셋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낙관성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로부터 받는다고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았으며, 내재화 문제 수준 이 낮았다. 그러나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내재화 문제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낙관성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 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입 수험생의 낙관성이 내재화 문제의 발생을 완화하는 과정을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매개함을 보여준다. 대학 입시를 앞두고 우울/불안하거나 사회적 관계 에서 위축되어 있는 학생들을 이해하고 개입하는데 이 연구의 결과가 던지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수 간 인과관계에 대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or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s, and teachers in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internalizing problems. The Extended Life Orientation Test, the Social Support Scale, and the Korean-Youth Self Report were administered to 285 12th-grade student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the models with parent support as mediator,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path coefficients of 「optimism → parent support」, 「parent support → internalizing problems」, and 「optimism → internalizing problems」were all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or effect of parent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internalizing problems was not significant. Second, of the models with peer support as mediator,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path coefficients of 「optimism → peer support」, 「peer support → internalizing problems」, and 「optimism → internalizing problems」were all significant. The mediator effect of peer support was found significant. Third, of the models with teacher support as mediator,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path coefficients of 「optimism → teacher support」 and 「optimism → internalizing problems」were both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coefficient of 「teacher support → internalizing problems」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or effect of teacher support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peers mediates the effects of optimism on reduction of internalizing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for understanding of and intervening with depressed/anxious or withdrawn students were offered.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optimism and the quality of social support from peers will eventually reduce internalizing problems. Further research, exploring the causal relations among optimism,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nternalizing problems, was sugges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