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42.94
3.145.42.9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에티오피아 이주민의 이주 동학: 경향, 유형 및 난민 연계
The Dynamics of Ethiopian Migration in Korea: Trends, Patterns and Refugee Linkage
한건수 ( Geon Soo Han )
UCI I410-ECN-0102-2015-300-000241190

‘아프리카의 뿔(Horn of Africa)’ 지역은 1980년대 이후 가뭄과 기근 등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정치적 불안정이나 국경분쟁의 악화 등으로 국내실향민(internally displaced people)과 난민을 대량으로 발생시켜 왔다. 특히 아프리카 대륙 밖으로 이주한 이 지역 출신 난민들이 이산공동체의 다수를 차지하면서 난민이주와 자발적 국제이주가 뒤섞이는 독특한 이주유형과 연계를 만들어 내고 있다. 한국정부의 자원외교나 보훈외교는 특히 에티오피아나 카메룬 출신 이주민의 규모를 확대시키고 있다. 아프리카 이주민의 난민지위신청도 늘고 있는데, 이는 아프리카 이주민에게 폐쇄적인 한국의 이주노동자 정책과도 관련이 있지만,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이주민의 일반적 경향과도 일치하는 현상이다. 이 논문은 이런 현상을 에티오피아 이주민을 사례로 분석한다. 한국전쟁 참전국인 에티오피아와 한국이 형성하고 있는 이주연계가 에티오피아인의 한국 이주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한국의 에티오피아 이주민 공동체가 다른 국가의 에티오피아 이산공동체와 인터넷과 사회관계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교류하면서 새롭게 만들어 가는 이주유형을 소개하고 있다.

From the 1980`s, the region known as “The Horn of Africa” has produced large amounts of internally displaced people and refugees due to strikes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drought and famine, political instability and border disputes. As refugees from this region that migrated out of the African continent begin to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diaspora, a unique migration pattern where refugee migration and voluntary migration blend is appearing. This phenomenon is also observable in the African migrant communities of Korea, because the Korean government`s diplomatic policy towards Africa is opening new migration links between Korea and African countries. The Korean government`s ‘resource diplomacy’ and ‘appreciation diplomacy’ for fighting together during the Korean War have increased several African countries` migrants in Korea. Refugee application by African migrants is also increased. This paper analyzes this phenomenon through case studies of Ethiopian migrants. It demonstrates how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Ethiopia influenced the migration patterns and nexus. Ethiopian migrants in Korea are constructing new migration patterns by sharing their refugee appl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yber and SNS networks of the global Ethiopian refugee community.

1. 서론
2.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난민 발생 현황
3. 에티오피아인의 국제이주: 난민, 노동이주, 인신매매
4. 에티오피아인의 한국 이주
5. 한국과 에티오피아: 한국전 참전과 보훈외교
6. 한국의 에티오피아 이주민: 이주유형과 전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