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198.173
3.140.198.173
close menu
KCI 등재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의 공간적 분석
Spatial Analysis for Forest Fire Using GIS
김대영 ( Dae Young Kim )
UCI I410-ECN-0102-2015-900-00020377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20년간 전국의 산불 발생 현황을 시계열적,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GIS 공간 분석 기법을 이용한 다각적인 방법으로 산불위험지역을 도출해 산불 예방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전국 산불의 공간적 분석을 위해 1991년부터 2010년까지 20년간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공간적 통계기법과 GIS 기법을 활용하여 화재의 발생과 지역의 공간적인 상관성을 분석한다. 공간통계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영동 지방과 경상북도 지역이 그 지역과 주변지역이 모두 산불발생이 높은 HH 지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상북도의 대부분 지역이 산불발생 다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산불 피해면적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산불 발생이 높은 지역(HH)이 영동 지방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상북도 지역은 발생 건수에서는 HH 지역으로 나타났으나, 피해면적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동지역이 대표적인 대형 산불 발생지역임을 확인 시켜주는 것이다. 핫스팟 분석을 통해 산불 관리체계의 보완을 위한 산불 발생 예상지역의 범위를 구성할 수 있다. 산불발생 다발지역의 핫스팟지역은 강원도와 경상북도 전역에 걸쳐 나타났다. 이들 핫스팟지역은 산불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집중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산불관리 즉 예방과 진화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산불발생과 확산 특성에 대한 사전이해가 요구된다.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orest fire, understanding of regional forest fire pattern is need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oreast fire and spatial interrelationship between forest fire and region. For these, GIS method based on spatial statistics technique was examined and forest fire occurrence pattern is ploted on a map using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and hotspot analysis.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using the data collected for 20 years had strong tendency of spatial cluster of forest fire, through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hotspot analysis. And we can find the regions with the most frequent forest fires and risk areas of forest fires occurrence. On a regional basis, Gangwon, Gyengbuk was the provinces most afflicted with forest fire. Through analysis of spatial statistics, the eastern regions of Taeback Mountains and Gyengbuk province were the most risk areas to forest fire. Especially, the East coast areas were the most risk areas to a big forest fire. Lastly,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deas to forest fire for disaster preven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 서 론
II. 전국 산불발생 현황
III. 산불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
IV. 공간통계 기법을 활용한 산불 발생지역의 공간적 패턴 분석
V. 결론 및 전망
文 獻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