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32.160
3.144.232.160
close menu
KCI 등재
고등학생의 우울과 불안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Depression and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on School Violence: Focusing on Mediation Effects of Anger
고수현 ( Soo Hyun Ko ) , 강석기 ( Seok Ki Kang )
UCI I410-ECN-0102-2015-300-00227684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우울과 불안 및 분노의 요인 들이 어떠한 인과관계와 경로로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인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1~2학년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학교폭력에 관련된 정서적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중 736부(남학생 342명, 여학생 394명)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 생 변수로서의 우울과 불안은 내생변수인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직접적인 관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 변수들이 분노를 매개변수로 하여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요인들 중에 서 우울과 불안 및 분노 요인의 기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우울과 불안의 분노요인을 매개로 한 효과도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치료적으로도 접근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 구축과 학교폭력 관련 프로그램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ath of causality of depression, anxiety, anger affect high school violence. For the analysis, the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2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emotional scale related to school violence study. Among them, 736 students(male 342, female 394)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pression and anxiety of high school as an exogenous variable was found to affec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as an endogenous variable. And on the other hand, these variables were identified that also exerts a significant influence indirectly by anger as a parameter.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structural mechanis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anger among the factors, emotional factors affecting school violence in high school. Especially depression and anxiety factors could verify the effect appears even anger factor as a para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stablishing theoretical basis that can be reached through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therapeutic method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significance is that it can help to improve school violence-related program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