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32.230
18.223.32.230
close menu
KCI 등재
취업모의 직장 내 분위기의 융통성,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among Working Mothers` Role Conflict, Parenting Stress, Parenting Competency, and Flexibility in the Workplace
정미라 ( Mira Chung ) , 차기주 ( Kijoo Cha ) , 주연진 ( Yoenjin Joo ) , 김민정 ( Minjeong Kim )
UCI I410-ECN-0102-2016-370-00024493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로 직장분위기의 융통성,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직장에 평일 평균 8시간 이상 근무하는 취업모 408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측정모델과 구조모델을 동시에 분석하는 1단계 접근법(one step approach)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장분위기의 융통성은 취업모의 역할갈등에 직접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역할갈등을 통해 양육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역할갈등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 영향력을 가지며,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어머니 스스로가 지각한 양육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장분위기의 융통성은 취업모가 경험하는 역할갈등과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스스로가 지각하는 양육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취업모의 직장 내분위기의 융통성이 양육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고, 취업모의 일-가정 병행을 위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working mothers’ role conflict, parenting stress, parenting competency, and workplace flexibi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ent questionnaires for working mothers(n=408) and analyzed using AMOS to test the fit of the hypothesized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lexibility in the workplace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role conflict and an indirect effect on parenting stress through the mediation role of the role conflict. Second, the working mothers’ role conflict directly influenced parenting stress and indirectly parenting competence via parenting stress. Third, workplace flexibility had an impact on parenting competence only via role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with no direct impact.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n how policies and atmospheres in the workplace can support working mothers’ balancing work and family liv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