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55.169
3.145.55.169
close menu
KCI 등재
크리에이티브 부티크의 기업문화 유형이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특성의 조절 효과
The Influence of the Company Culture on the Internal Communications 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Job Function for Creative Boutique Companies
박지은 ( Ji Eun Park ) , 김은아 ( Eun Ah Kim ) , 이철영(교신저자) ( Chull Young Lee )
조형미디어학 18권 4호 175-185(11pages)
UCI I410-ECN-0102-2016-650-0001968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논문은 중소 디자인 전문회사 “크리에이티브 부티크”의 기업문화가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업무특성상 디자이너그룹과 비디자이너 그룹으로 나누어 총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문화에서는 불확실성이 가장 높고 개인주의적, 성(gender)적 특유성향, 권력격차의 순으로 나타났고, 사내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가치관의 공유와 업무 커뮤니케이션은 높으나, 캠페인과 사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직무특성별 기업문화 및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업문화에서는 디자이너 집단보다는 비디자이너 집단의 성적 성향이 더 높았고,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업무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서 디자이너 집단이 비디자이너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직무특성별로 기업문화와 사내 커뮤니케이션은 차이를 보였다. 넷째, 기업의 기업문화 만족도가 사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디자이너 집단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크리에이티브 부티크 조직의 경우, 일관된 기업문화와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정립하게 될 때 많은 문제점을 가질 수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크리에이티브 부티크 기업은 조직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분위기와 맨 파워를 바탕으로 틀에벗어난 다양한 사고나 아이디어가 존중되는 곳으로, 수직적 기업문화와 사내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수평적 기업문화와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자이너 집단과 비디자이너 집단별로 따로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부티크 기업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은 물론, 크리에이티브 부티크 기업에 적합한 기업문화에 대한측정도구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creative boutiques`` company culture on the internal communication and on the mediating role of the jobs. A survey was conducted for over 172 design or non-design professionals working in creative boutiques. As a result, first, as for company culture, uncertainty came on top, followed by individualism, gender specificity, power distance with a low level of satisfaction while as to internal communication, sharing a sense of values and internal communication was relatively active with a low level of communication campaign and inter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job groups revealed that the non-designer group showed higher masculinity than the designer group within the company culture while the designer group showed higher busin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campaign. Third, the job type makes differences in the company culture and the internal communication, and the effect of the company culture on the internal communic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job types.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a creative boutique company culture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ternal communication showed that creative group was more susceptible to influence. The result implies that, within a creative boutique company, uniformly created company culture and internal communication could bring about many problems. Particularly, a creative boutique company may be small in size, but there exists free spirit as well as thoughts and ideas as the thinking outside the box is highly valued. That may lead to a conclusion that it is presumed to be better off in constructing an horizontal company culture. Therefore, it appears to be more desirable to take job types or nature in the company into consideration and to construct a company culture and internal communication of a creative boutique company for a designer group and a non-designer group separately.

1. 서론과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