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203.143
3.128.203.143
close menu
KCI 등재
케이팝(K-Pop), Korean과 Pop Music의 기묘한 만남 -K-Pop의 한국 대중음악적 진정성에 대한 탐구
Special Topic : Mass Culture and Aesthetics ; K-Pop: a Peculiar Encounter of Korean and Pop Music -Inquiry into K-Pop`s Korean Authenticity
이수완 ( Su Wan Lee )
인문논총 73권 1호 77-103(27pages)
UCI I410-ECN-0102-2016-000-000778419

필자는 한국을 의미하는 K와 미국적 대중음악을 의미하는 Pop 간의긴장이 케이팝 이해에 핵심이라고 보고, 케이팝에는 K에 상응할만한 뚜렷한 한국 음악적 정체성이 부재하다고 평가하며 케이팝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시도한다. 한국의 대중음악을 지칭하는 ‘가요’와 달리 해외에서 명명된 케이팝은 1990년대 이후의 문화산업이 주축이 되어 만든 서구 음악 장르 특히 댄스음악을 의미한다. 이는 국내 대중음악산업이 위기에 대처하면서 음악산업의 해외진출을 모색하는 가운데 형성되었다. 기존의 한국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가요’는 한국 대중음악사의 태동기에 한국의 지역적 시대적 정체성을 대변하는 음악으로 기능하였다. 가요의 주축을 이룬 트로트의 저급하고 통속적인 감성을 표현하는 순 한국어 뽕끼를 케이팝이 버렸다는 것은 케이팝이 가요에서 선을 긋고 지역적 정체성을 탈피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팝의 가사와 사운드는 특정 지역과 무관한 개인적 정서를 주로 표현하고, 보편적 욕망에 충실하며 솔직한 태도, 소비 중심적인 생활방식을 드러낸다. 서구 대중음악 중 가장 상업적이며 인공적인 팝 음악은 음악적 세계화의 결정체로서 음악적 보편성을 추구하는데, 케이팝 역시 이 특성을 공유한다. 그런데 케이팝은 음악적 통속성을 더 복합적인 방식을 통해 강화시켰는데, 이는 트랜스 미디어 전략을 통해서 가능했다. 보편적 호소력을 갖는 춤의 강조, 후크송은 케이팝을 청각예술이 아니라 시청각적 공연예술로 변화시켰고 한국 대중음악의 성격을 바꿔놓았다. 케이팝의 아이돌 혹은 스타시스템은 대중문화 시장의 리스크에 대처하고 경제적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특화 발전하였다. 결과적으로 케이팝의 본질은 글로벌 뮤직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고 ‘케이’는 허구적 형용사이며 수출을 위한 브랜드명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 대중음악산업은 초국적 대중음악을 지향하면서 본질주의적 로컬정체성 보다는 문화세계주의 의식을 강화하였고 이 과정에서 한류의 문화적 정체성은 혼종적 다국적 문화가 되었다. 또한 케이팝은, 향유계층이나 민족성관련 진정성이란 가치를 버리고 숭배를 위한 상품이 된 21세기의 대중음악의 현 상태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가 되고있다.

I approached K-Pop with a rather critical look. The tension between K which represents Korea and Pop which means American Popular music is essential in understanding K-Pop. The term “K-Pop” was named abroad and it means Idol-based -Western- dance- music. And the culture industry plays a leading role in its production. “Kayo” which is the Korean word for Korean Popular music had been considered as authentic Korean popular music, historically. However, Kayo is replaced by “K-Pop” which discards Korea’s musical identity and historical context. This elimination is due to K-Pop’s target of musical globalization. Instead, it took on contents of American popular music and gained musical universality. The proofs of musical universality are individual emotion’s expression regardless of local character and dance oriented music by means of trans- media strategy. These traits maximize economic profit. K-Pop aims to become a transnational popular music and in this process ‘K’ transformed into a brand name for exporting goods. K- Pop became a fictitious concept. K-Pop shows that class, nationality, gender based authenticity is thrown away in 21th century popular music.

1· 본론
2·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