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27.189
18.219.227.189
close menu
KCI 등재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초등학교 사교육 시장의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Private Tutoring Using The Latent Claass Analysis
정한나 ( Jung Han Na ) , 백일우 ( Paik Il Woo )
초등교육연구 30권 3호 149-174(26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71179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교육 시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통계청 사교육비 조사를 통해 수집된 초등학생 12,69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교 사교육 시장의 잠재집단은 총 5개로 분류되었다. 둘째, 5개의 잠재집단에 명칭을 부여하는 기준은 각 집단별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사교육 참여유형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각 잠재집단의 특성에 따라 잠재집단에 명칭을 부여하였다. 각명칭은 ‘과외중심 사교육’. ‘프리미엄 복합 사교육’, ‘보충형 학원중심 사교육’, ‘보편형 학원중심 사교육’. ‘학습지/통신중심 사교육’이다. 본 연구는 정부가 초등학교 사교육시장의 유형에 따라 정책을 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초등학교 사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classifying types of private tutoring according to the consumer’s nature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urthermore, our goal is to comprehend problems within the Korean private tutoring market and discuss rationale that the policies on private education should be applied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type of market. This study intends to set appropriate political measures by types of private tutoring. A total of 12,698 elementary students who complete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urvey of 2014’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analysed. A total of 5 latent classes were drawn from the LCA, which were named after their characteristics as follows: Private Lesson, Premium Complex Private Tutoring, Supplementary Private Tutoring Institute, Universal Private Tutoring Institute, and Workbooks/Online Learning. Our results may lay the groundwork for private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by establishing practical guidelines according to the type of private tutoring market in elementary school.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