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14.94
3.138.114.94
close menu
KCI 등재
2018년 기초의원선거와 여성 정치대표성
An Analysis of the 2018 Local Election on Women’s Representation in the Lower-level Local Councils
조정현 ( Jo Jung Hyun ) , 황아란 ( Hwang Ah Ran )
여성학연구 29권 2호 73-104(32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182913

본 연구는 여성의 정치적 저대표성이 여성후보의 당선경쟁력이 남성후보보다 낮기 때문이 아니라 정당의 공천에서 드러나는 성차에 기인한 문제라 보고, 2018년 기초의 원선거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아 정당을 비롯하여 당락을 좌우하는 당선경쟁력의 주요 변인들에 대한 남녀 후보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2006년 지방선거까지는 남성후보의 당선율이 여성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낸 반면, 2010년 지방선거부터는 여성후보의 당선율이 남성보다 높다. 특히 2010년, 2018년 기초의원선거에서 여성후보의 당선율이 남성보다 높은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사회경제 변인과 선거구환경 요인으로 구성된 기본모형의 분석에서 주목할 점은 여성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여성후보가 남성보다 당선확률이 1.2배 높다. 그러나 정당 등 정치적 변인을 포함한 종합모형 분석결과에서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또 여성후보의 소속정당에 따라 당선율이 달라지는 조절효과, 즉 상호작용의 교차효과를 검증을 통해 여성의 정치대표성이 정당의 공천에 크게 좌우됨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발견이다.

This study argues that women's under-representation is not due to the low competitiveness of female candidates, but due to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nomination of political parties. The very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election outcomes between male and female candidates in the lower-level Local Council.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winning rates of election for male candidates until the 2006 Local Council Election had been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for women. In contrast, the rates for female candidates was higher than that for men, starting from the 2010 Local Election.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the electoral winning rates between female and male candidat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both elections held in 2010 and 2018. A noticeable result from the Basic Model composed of socioeconomic and constituent variables in the study reveals that women candidates are 1.2 times more likely to win the election than men, because woman-related demographic variables affect statistic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However, the result from the Comprehensive Model including various political variables like political parties dose not confirms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political party affiliation of women constructed with interaction terms is verified as having a moderating effect that incurs the different winning rates of the election for female candidates. One of important findings in the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at the level of representativeness i.e., under-representation for females depends largely on the nomination of a political party.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분석방법 및 자료
4. 분석결과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