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02.187
3.141.202.187
close menu
KCI 우수
체류형관광을 통한 관광 만족과 삶의 질 만족 - 제주살기 경험자를 대상으로 -
Satisfaction from Tourism Experience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through Long-Stay Tourism - A Case Study on the Long-Stay Tourists of Jeju Island -
김송이 ( Kim Song-yi ) , 강성은 ( Kang Sung-eun )
관광학연구 44권 3호 147-159(13pages)
DOI 10.17086/JTS.2020.44.3.147.159
UCI I410-ECN-0102-2021-300-00092049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동행인과 함께 특정 지역에 장기간 머무르며 활동하는 형태의 체류형관광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들이 체류형관광을 통해 관광 만족 및 삶의 질 만족을 얻게 되는 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동행인이 있는 체류형관광객으로 대상을 한정하여 관광을 통한 동행인과 관계 회복이 관광 만족과 삶의 질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 체류형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185부의 설문자료에 대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체류형관광을 통한 신기성의 경험, 탈일상의 경험이 관광 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삶의 질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체류형관광을 통한 동행인과 관계 만족은 관광 만족은 물론 삶의 질 만족에도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체류형관광을 통한 지역성의 경험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체류형관광객은 지역사회 교류보다는 동행인과 장기간 동안 함께 시간을 보내는 관광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체류형관광 수요를 수용 및 촉진하기 위해서는 동행인과 함께 신기성과 탈일상성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하게 연구되어온 체류형관광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파악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demand for long-stay tourism, which tourists reside at a single destination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ong-stay tourism on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we explored the behavior of visitors who were traveling with companions. A total of 185 surveys from tourists who traveled to Jeju Island were us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opportunity to seek out novelty and escape routine positively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which also positively influenced their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ong-stay tourists have in regard to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ompanions also positively influenced their tourism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impact of experience of locality on tourism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long-stay tourists in South Korea focus more on engaging in tourism activities with their companions for novelty and a break from routine, rather than orienting their tourism trips around authentic local experiences. This implies that efforts to introduce programs that allow tourists to experience novelty and escape from their routine with companions are needed to promote long-stay touris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overed an important aspect of long-stay tourism and its appeal that has not previously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tourism study.

Ⅰ. 서 론
Ⅱ. 문헌 검토 및 연구모델 설계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