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02.112
18.191.102.112
close menu
지역노동시장 관점에서의 한국 도시지역 특성화와 실업에 대한 맥락적 분석
Characterizing Urban Areas from the Local Labor Market Perspective and a Contextual Analysis of Unemployment
권상철(Sang Cheol Kwon)
UCI I410-ECN-0102-2009-980-006381689

본 연구는 실업에 대한 기존의 다양한 접근 방법들은 지역노동시장 관점에서 포괄하고 실증적으로 실업의 지역차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한국의 도시노동시장 특성화는 산업과 직종의 분절로 본 취업자 분포를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도시지역을 차별화 하였는데 4개의 단면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단면들은 노동의 공간분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직종보다는 산업부문에 따른 도시지역의 차별화를 나타내었다. 각 도시지역의 요인점수는 개인의 실업과 취업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개인의 인적자원으로 교육, 나이, 성별과 더불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개인의 실업 확률은 개인의 인적자원과 도시노동시장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개인의 인적자원이 실업에 미치는 영향이 도시노동시장 특성에 의해 변화됨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업에 대한 개인차원, 국가차원, 그리고 산업과 직종별 분절의 차원에서 접근되던 기존의 연구에 더하여 지리적 관점의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Local labor market perspective provides an important insight to understand local unemployment differentials elaborating previous individual human capital and structural labor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Using individual data drawn from the 1995 census l0 percent samples, urban labor markets are characterized by the geographical clustering and separation of the industrial and occupational segments summarized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then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individual unemployment including individual human capital such as sex, age, and years of education and the component scores derived from the previous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individual unemployment is affected by individual human capital as well as urban areas differentiated labor market structure. In particular, urban labor market structure conditions the role of individual human capital to unemployment, thus varying across urban are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unemployment differentials across urban areas beyond the national, individual, and segmented labor markets themselv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