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71.235
18.191.171.235
close menu
KCI 후보
요약 / 강조구문 C'est . . . qui / que . . . 의 통사구조 , 어떻게 볼 것인가 ?
COMMENT ANALYSER LA CONSTRUCTION C'EST QUI / QUE . . . ?
이경애(Kyung Ae Lee)
불어불문학연구 43권 465-511(47pages)
UCI I410-ECN-0102-2009-760-006463980

강조구문형태의 하나로 널리 쓰이는 분열문형식인 C'est... qui..., C'est... qui...는 지금까지의 기존문법에서는 일반문장(S+V+O)의 어느 한 기능요소 - 주어, 목적보어, 상황보어 등 -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공식화한 표현으로만 여겨져, C'est는 보통 "제시어"로 불리우며, 그 바로 다음에 놓이는 말은 화자가 부각시켜 청자에게 새로운 정보를 알려주는 말로, 그리고 qui나 que다음에 놓이는 말은 화자와 청자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말이라는 의미전달 (화용론적) 차원의 해석에 국한 될 뿐, 통사적 측면에서는 다루어야 할 여지가 별로 없는 것처럼 취급되어 왔다. 이 형식의 강조구문에 대한 통사적고찰은 변형생성문법의 관점에서만 일부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열강조문을 이루는 각 요소의 통사적 특성에 비추어 그 통사기능과 구조를 밝혀보고자 한다. 필자는 C'est는 Ⅱ est에 비길 수 있는 비인칭동사로 중성대명사 ce와 e^tre동사의 의미가 혼합된 동사로 보고자 한다. C'est는 시제와 법에 따르는 활용형을 가진다는 점에서 e^tre동사와 매우 흡사하나, 인칭에 있어서는 항상 3인칭으로 불변이며, 수(nombre), 시제(temps), 법(mode) 등에 있어서는 "거의 불변" (왜냐하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설법·현재·단수형인 C'est로 쓰이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이다)이라는 특성이 있다. C'est는 두 개의 보어를 가지는, 다시 말하면, 동사가(valence verable)가 2인 동사로서 (verbe bivalent), 바로 뒤에 놓인 말, 즉 qui나 que 앞에 있는 말(소위 선행사)이 제1보어이고, qui나 que 이하의 절(소위 관계문)이 제2보어이다. C'est 다음에 오는 말은 명사(구), 부사, 전치사구, 절 등 다양하며 이는 C'est의 제1보어이지 Ce의 속사(attribut)가 아니다. 또한, 소위 관계절이라 여기는 qui나 que 이하의 말은 C'est의 제2보어이지 앞의 말(제1보어)의 확대요소(extension)가 아니다. 이 관계절은 일반관계절과는 달리, 형용사와 동일계열이 아니라 명사구(SN)와 동일계열이며, qui나 que 앞에 celui나 ce 등과 같은 조응대명사(pronom anaphorique)가 놓일 수 있는 한편, 이러한 조응대명사와 더불어 문두로 이동할 수 있으며, que로 유도되는 경우는 오히려 보족절(comple'tive)과 유사하다는 특징이 있다. 동사보어라는 통사적 기능은 화용론적 차원에서의 정보전달기능을 수반하는데, C'est의 제1보어가 설명어(rhe`me 또는 propos)의 기능을, 제2보어가 주제어(the`me)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가장 많이 쓰이는 일반적인 용법이다. 이 때의 주제어는 화자와 청자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으로서 정보가치가 낮다. 이례적으로, C'est가 제시하는 말이 설명어인 동시에 qui이하의 말의 주제어가 되고 qui이하의 말은 이 주제어에 대한 설명어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의 주제어는 청자에게는 미지의 내용으로 그 정보가치는 설명어와 마찬가지로 높다. 그러나 이는 단지 의미상에서의 변호, 다시말해 정보기능상의 변화일 뿐이지 통사기능상에는 변화가 없다. 즉, 이 경우에도 C'est와 qui사이에 놓인 말은 동사의 제1보어이며, qui이하는 제2보어인 것이다. 한마디로, C'est... qui/que 형식의 분열강조구문 P는 3개의 직접구성요소(3 C.I.) - 제일직소인 동사(V) C'est, 제이직소인 SN 또는 Spre'p (또는 Adv나 SP(=Syntagme Propositionnel)), 제삼직소인 SP(qui/que...)-로 이루어진 이심구조(construction exocentrique)의 문장이라 할 수 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