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77.223
18.226.177.223
close menu
한반도 도시체계의 발달과 전망
The Development and Prospect of the Korean Urban System
최재헌(Jae Heon Choi)
UCI I410-ECN-0102-2009-980-005726437

한반도 도시체계를 고려할 때 남한과 북한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도시체계를 형성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전체 도시체계발달의 일반적 배경을 간략히 살펴보고. 체계론적인 관점에서 한국의 도시체계를 도시속성과 연계구조, 도시체계의 전반적 변화로 나누어 간략히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국의 도시발달은 지금까지 대도시 위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에 따라 도시의 거대화와 연담화, 신흥공업도시와 위성도시의 급성장, 지방소도시의 정체와 같은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의 인구분포에 있어서는 서울과 부산 위주의 양극화 성장이 둔화되고 지방의 대도시가 광역권을 형성하며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는 도시간의 연계 구조의 특성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비록 서울과 부산의 영향력이 지배적이지만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규모 권역이 형성되고 있다. 앞으로의 한반도 도시체계의 발달은 세계화로 대표되는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와 통일 이후의 도시체계구조의 조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 가능하며, 이에 따라 대내외적인 유기적 연계관계를 고려하여 발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urban system within the Korean peninsula has developed separatel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urban system development from a systems perspective by dividing attributes, linkages, hierarchical structure, and urban system change. The Korean urban development is characterized by metropolitanization, conurbation, emergence of new industrial cities towns and satellite cities, and stagnation of small cities. The polarized pattern of population distributions in Seoul and Pusan have been alleviated towards the growth of mediem sized and provincial regional centers, which can be identified in the linkage structure. Although Seoul and Pusan are still too powerful in the Korean urban system, regional centers and medium sized cities have gained their own power in the urban system. The next urban system is expected to be under influence of globalization, unification, and other soci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way of enhancing interdepend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