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79.60
3.17.79.60
close menu
서울시 여성 취업자의 취업형태와 통근통행패턴간의 연관성 분석
Employment Types and Commuting Patterns Among Female Work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노시학(Shi Hak Noh)
UCI I410-ECN-0102-2009-980-005726508

서울시 여성 취업자의 취업형태와 이에 따른 통근통행패턴을 분석한 결과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여성 취업자들의 취업형태와 통근통행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여성 취업자의 혼인여부는 이들의 취업형태 및 통근통행패턴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여성 취업자의 직장의 위치는 이들의 취업형태 및 통근통행패턴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주지를 기준으로 한 직장의 위치적 특성에 따라 이곳에 취업 중인 여성 취업자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취업형태 그리고 이에 따른 통근통행패턴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실정에는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서구사회에서 도심과 교외지역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여 수행된 경험적 연구들의 결과를 적용하기에는 커 다란 무리가 있을 수 있다는 것과 더불어. 우리 나라 여성들의 취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그리고 공간적 제약의 정도는 서구사회에서 나타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employment types and commuting patterns among female work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employment types and commuting patterns among female workers of the study area are substantially different. Among other thing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represented by functional and locational features of the area where the work places are located and the marital status of female worker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female workers employment types and commuting patterns. these facts imply that the social and spatial barriers to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female workers in Korea are still substantial, and the research results that come from the American experiences do not correspond well with the Korean situ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