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76.7
18.117.76.7
close menu
KCI 후보
칸트와 순자 -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Kang and Xunzi - Naturalism and Autonomy
이장희(Jang Hee Lee)
시대와 철학 12권 2호 207-236(30pages)
UCI I410-ECN-0102-2009-150-005718311

이 논문은 순자의 자율성 개념과 그의 禮 중심의 도덕성 개념을 칸트의 자율성과 도덕성 개념을 비교한 것이다. 이 비교에서 우리는 순자의 도덕 철학이 고대 중국의 자연주의에 대한 대응이라면, 칸트의 윤리학은 근대 기계론적 자연과학의 자연관에 대한 대응으로 볼 수 있음을 보았다. 이 둘의 근본적 차이점은 그들의 자연관에서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칸트가 유물적인 자연과학적 자연관을 받아들인 토대에서 그의 윤리학을 건립한 것처럼, 순자가 비판한 것도 고대 중국의 유기론적 자연관 자체가 아니라 자연주의자들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상정하는 방식에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칸트는 인간의 윤리적 영역과 현상적 자연적 영역을 존재론적으로 엄격히 구분한 바탕에서 그의 도덕성의 개념을 설정했다고 한다면, 순자는 도덕성 건립에 있어 인간의 건설적 노력을 중요성을 충분히 강조하면서도 인간의 도덕성의 영역과 자연의 영역 사이의 연속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했던 것이다.

This paper compares Xunzi`s notion of the autonomy of xin and of li-morality with the Kantian notion of autonomy and of morality. In this comparison we notice that while Xunzi`s moral philosophy can be viewed as a response to ancient Chinese naturalism Kantian ethics can be seen as a response to the modem mechanistic scientific view of nature.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m however, can be found in their views of nature. As Kant does not rejact a materialistic scientific view of naure, what Xunzi criticizes is not the organicist view of nature that he and the naturalists share, but the way the naturalists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kind and nature. Accordingly, whereas Kant builds morality on a strict ontological separation between the human ethical realm and the natural phenomenal realm, Xunzi attempts to retain the continuity between human morality and the natural world while underscoring the significance of human constructive effort in establishing moral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