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205.154
3.147.205.154
close menu
한국 , 중국 , 일본 3 국 지붕의 변천
Characteristics of Roofs of Three Countries - Korea , China and Japan
박태화(Tae Hwa Park)
UCI I410-ECN-0102-2009-980-004415119

한·중·일 3국의 지붕형태는 거의 우진각지붕, 맞배지붕, 팔작지붕으로 동일 문화권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3종의 지붕형태는 오랫 동안 3국이 문화의 차이만큼이나 선호도가 상이하여 차별화 되어 있다. ① 우진각지붕은 초기에는 교류에 의하여 3국이 유사하였으나 후기에는 용마루, 내림마루, 처마의 선에서 차이가 있다. 중국에서 우진각 지붕은 고유하고, 품격 높은 지붕형태로 인정되어 궁궐 내 주요 건물의 지붕이 되었다. ② 맞배지붕은 초기부터 3국이 독자적인 지붕형태로 발달하여 박공벽, 지붕의 선과 장식에서 차별화 되어 있다. 한국에서 종묘, 서원 등 중요 공공건물에서 발견되며 민가에서도 사대부가의 사당에 채택되어 가장 고유한 지붕으로 간주된다. 일본에서도 신사의 지붕은 장식에 의하여 독특한 형태를 보인다. ③ 팔작지붕은 후기 발달된 지붕형태이나 3국이 다같이 궁궐의 지붕으로 격상되어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다층구조와 처마와 추녀의 곡선 등 외관의 아름다움을 강조하여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The roof style of three countries tells that they belong to the same cultural realm in which their roof styles consist of Uchingak, Matbe and P’aljak roofs. ① In China, the Uchingak roofs are unique with a high dignity, and are used for the roofs of main palaces and buildings of the royal palace. In Korea and Japan, they are mainly used for the houses of the people with demoted roofs ② In Korea, the Matbe roofs have a high dignity and are used for the roofs of public buildings such as the royal ancestral shrine, a memorial hall for the great scholars, and an ancestral shrine of the noblities. In Japan, they are used for the roofs of the Jinja(a temple of Japanese gods) with peculiar ornaments. ③ In Japan, the P’aljak roofs, they are used for the roofs of the imperial palace and major castles with a high dignity of multiple floor structure. In Korea, they are used for the royal audience chamber and main buildings of palace and also used for the houses of the rich farm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