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43.184
3.144.243.184
close menu
KCI 등재
변혁적 리더십과 전통적 리더십의 관계 및 바람직한 리더십 모형 - 공 , 사조직의 중간관리층을 대상으로 -
The Relationship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 and the Desirable Model of Leadership : Focusing on The Middle - level Manager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김호정(Ho Jung Kim)
UCI I410-ECN-0102-2009-350-004298676

본 연구는 최근에 등장한 변혁적 리더십과 기존의 전통적 리더십(구조주조·배려·거래적 리더십)간 상호보완효과를 검증하고, 구조주조·배려·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의 다양한 조합형태 중 어떤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찾아내려는 것이다. 나아가 그 결과를 공·사조직간에도 비교하려는 것이다. 분석결과 상호보완관계에 관해 기업조직에서는 선행연구들과 거의 유사하게 나왔으나 행정조직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행정조직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전통적 리더십의 효과를 보완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전통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를 상당히 보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람직한 리더십 모형에서는 공·사조직에서 공통으로 네 가지 리더십을 모두 강하게 발휘하는 리더의 부하들이 조직몰입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lementary effect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and traditional leaderships, and to find the most desirable model among the various combination forms consisting of transformational and traditional leaderships. Furthermore, this study is to compar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erms of complementary effects and the most desirable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s predicted, the complementary effects of public sector contrast with those of a private sector. In a public sect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could not complement traditional leaderships but traditional leaderships complemented significant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Conversely, in a private sector the complementary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are much stronger than those of traditional leaderships. But the most desirable model is common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at is, members whos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the highest perceive their leaders perform strongly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ditional leadership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