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68.16
18.218.168.16
close menu
KCI 등재
불확실성, 혼돈 그리고 환경정책 -시화호 매립사례를 중심으로-
Uncertainty, Chaos, and Environmental Policy: In Case of Shiwha Reservoir and Watershed Development
사득환 ( Deug Whan Sa )
UCI I410-ECN-0102-2009-350-003496192

오늘날 정부는 증대하는 불화실성과 혼돈, 그리고 복잡성을 관리하면서 정책을 선택해야하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과거에 경험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정책환경, 곧 `혼돈상황`이 펼쳐지면서 이러한 혼돈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불확실성과 혼돈상황에서 정부의 어떠한 정치적·정책적 선택이 환경정책의 실패를 초래하였으며, 또한 그러한 실패의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를 시론적인 차원에서 규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불확실성과 혼돈상황에 적합한 정책선택모형으로써 적응모형(adaptive model)을 개발하고, 이를 시화호 매립사업에 적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화호 매립사업은 `환경정책의 진화적 적응의 실패`로 요약할 수 있고. 이 사업은 적절한 공진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엄청난 요동(fluctuations)을 치면서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되다가 궁극적으로 정책실패(policy failure)라는 새로운 패턴과 질서로 자리잡은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시화호 매립사업의 실패는 i) 정확한 사전예측의 결여, ii) 경직된자기조직화, iii) 불균형적인 권력관계와 개발논리, iv) 정책학습과 피드백(feedback)의 부재가 그 주된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화호 매립사례에서 보듯이, 오늘날의 정책담당자들은 불확실성과 혼돈에 대한 주의깊은 관리(Management)가 매우 절실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sults of policy from political and policy decisions of the government in the circumstances of uncertainty, complexity and non-linearity, what is called, chaotic situations. 1 employed` adaptive model` as a theoretical tool and applied this model to the case of Shiwha Reservoir and Watershed Development. The adaptive model as a principle of decision making strives for the norm of positive sum from multi-participants in order to minimize the policy failure under the dynamic uncertainty and chaos It is highly relevance in a situation of uncertainty and chaos in that this model regards the policy as a process of creating new pattern of policy through ceaseless interactions with a given environment. I draw a conclusion that the cause of policy failure is originated from `the lack of evolutional adaptation` in the process of Shiwha Reservoir and Watershed Development. In view point of adaptive model, the most noticeable factors in the policy failure is as follows; first, the lack of precise prediction. second the constraints in the joint-decision making of participants, third, unequitable power relations and development-oriented theorem, fourth, the lack of policy learning and feedback. From the perspective of these, the adaptive model not only complements the theoretical limits of the traditional policy making models, like rational model, incremental model, garbage can model but sometimes shows as explanatory adequacy overcoming that mode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