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65.66
18.117.165.66
close menu
KCI 후보
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
Reconsideration on the "Paljongseong"(八終聲) of Hunminjeongeum(Haeryebon)(訓民正音 解例本)
안병희 ( An Byeong Hui )
국어학회 2003.06
국어학(國語學) 41권 3-26(24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3144788

이 글은 解例本 곧 『訓民正音解例本』의 終聲解에서 終聲의 표기가 初聲 8자면 가능하다고 한 규정을 재검토하려고 한 것이다. 위의 규정이 語彙形態素의 音節末 위치에 나타날 수 있는 子音과 관련되었다는 일반화된 설명에 대하여, 근자에 그 자음 중의 하나인 ㅅ은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ㄷ으로 中和되었으나 子音의 부류가 다르기 때문에 구별되어 표기되었을 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중세국어의 문헌자료에 사용된 終聲 ㅅㄷ의 용례를 광범하게 수집하여 ㅅㄷ이 결코 중화되었다고 볼 수 없음을 확인하고서, 중화된 유일한 예라 하는 ‘??, ??’을 다른 語源에서 유래한 표기로 설명하는 등, ㅅ도 다른 初聲 7자와 대립된 音素의 표기로 보아야 함을 다시 주장하였다. 이와 함께 初聲과 終聲에 通用되는 8자의 규정을 비롯한 『訓蒙字會』 卷頭에 실린 「諺文字母」의 내용이 중국의 韻書와 관계되고, 현대의 國語硏究와 한글맞춤법에도 일정한 맥락이 있을을 밝혀, 「諺文字母」가 國語學史에 차지할 위치를 새롭게 조명한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reconsiderate on the rule that the eight letters are sufficient for the syllable final consonants in Hunminjeongeum(Haeryebon). Generally, this rule is explained to be related with the consonants which can appear in syllable final position of lexical morpheme, but recently the assertion is arisen that `ㅅ`, one of the eight consonantal letters is neutralized with `ㄷ` like in present-day Korean then is spelled only because that `ㅅ` is different from `ㄷ` at point of classes of consonants. On this thesis, I assert again that `ㅅ` at syllable final is the notation of the phoneme as like the other seven consonantal letters in Middle Korean by examining the various examples in Middle Korean literature. Also I assret that the contents in `Eonmunjamo`(諺文字母) of Hunmongjahoi(訓蒙字會) including the rule of the eight letters which can be used both in syllable intial and syllable final is related with Unseo(韻書) in China and also connected with the present-day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orthograph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