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208.72
18.217.208.72
close menu
KCI 등재
사회규제조직개편 결정과정에 관한 비교분석 -미국과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Social Regulatory Organizations` Chang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U.S. and Korean Cases
박대식 ( Park Dae Sig )
UCI I410-ECN-0102-2009-350-003495337

Terry Moe의 제도-선택이론에 따르자면 정부조직개편에 관한 결정은 자익추구적인 정치세력들의 선택 하에서 이루어진다. 이 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Moe는 미국내 사회규제조직 개편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의 설명에 의하면 사회규제조직개편에 관한 결정은 이익집단, 의회의원, 그리고 대통령간의 대립과 갈등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제도-선택이론이 한국에도 적용이 될 수 있을지 판단해 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경우와 비교해서 한국의 사회규제조직에 해당하는 소비자보호원, 산업안전공단 그리고 환경부의 개편 결정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의 사회규제조직 개편에 관한 결정은 정부와 집권정당이 협조하고 이에 대해 반대정당이 순응하거나 대립하면서 이루어졌던 것으로 나타나 미국과 많은 차이점을 보였다. 이러한 조직개편 결정과정의 차이는 권력구조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즉 한국의 경우 집권적인 권력구조 하에서 정권유지 또는 정권변화를 원하는 대통령, 집권정당 및 반대정당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결정과정이 진행되어 왔던 반면 미국은 분권화된 권력구조 하에서 이익집단간 이해관계를 둘러싼 갈등 속에서 결정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제도-선택이론을 한국에 적용할 수는 없으나, 대신 정부조직개편에 관한 결정은 자익추구적인 정치세력의 역학관계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제도-선택시각을 한국에 적용할 경우 한국을 위한 제도-선택이론이 얻어 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choice theory of Terry Moe, decisions on organizational change in government are made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self-interested political forces. Moe takes the U.S. Social Regulatory Organizations` change as an example to prove the validity of his theory. He explains that the decision on the U.S. Social Regulatory Organizations` change is made in the conflicting process of the interest groups, the Congressmen and the President. This paper compares the social regulatory organizations` change of the Korea with that of the U.S.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institutional-choice theory to Korea. From this paper, we come to realize that the decision on the Korean Social Regulatory Organizations` change is made in the cooperative process of the President and the ruling party, and the resistent or adaptive reaction of the opposition party so that the Korean case shows the difference form the difference of governmental power structure between two countries. In Korea, the decision on the opposition party, which searches for the regime maintenance or regime change, through the centralized governmental power structure. By contrast, such decision in the U.S. i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interest groups, through the decentralized governmental power structure. As a result, we come to realize that we have difficulty applying the institutional-choice theory to Korea directly, while we can get the Korean institutional-choice theory after applying the institutional-choice perspective which means that the decision i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self-interested political forces to Korean cas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