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59.150
18.119.159.150
close menu
일제의 화폐정리 후 금융기관의 공간적 분포와 변화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Change of Banking Facilities after Japanese Currency Reform
박선희 ( Park Seon Hui )
UCI I410-ECN-0102-2009-980-00303147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일제의 화폐정리 후 금융기관의 공간적 분포와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일제의 화폐정리사업(1905-1909)으로 객주, 어음, 엽전, 외획 등 조선의 전통적인 화폐와 금융에 대한 신뢰가 사라지게 되었고 조선상인의 기반이 약화되었다. 일제는 화폐정리를 통해 당시 백동화와 엽전이 지역적으로 분할되어 유통되었던 조선경제를 일본화폐로 통합시키기 시작하였다. 화폐정리사업으로 인한 금융혼란 속에서 각종 금융기관이 설립되었다. 1909년대 말 각종 금융기관은 일본인의 이주가 활발하고 경제가 성장하고 있었던 서울과 부산, 인천, 원산 등에 입지하였고, 민족계 일반은행은 서울과 수원에만 입지하고 있었다. 1910년대 말 각종 금융기관의 대출금을 분석한 결과, 대출금의 대부분은 일본인의 상업자금이었다. 일반은행은 1928년 신[은행령] 공포 이후 군소은행의 도태와 합병이 이루어져 1943년 조흥은행과 조선상업은행으로 정리되었다. 1943년 현재 서울에 조선은행, 조선식산은행, 일반은행 등 36개 은행이 입지하여 금융자본이 집중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banking facilities had changed after the Japanese Currency Reform. The result of research follows as; Japanese Currency Reform (1905~1909) weakened the basis of traditional credit and merchants in Chosun Dynasty, which were Kaegju, Eum, Uypjeon, and Weoheok, and forced the Chosun eonomy under the Japanese capitalism. New banking facilities were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currency reform. Banking facilities in 1909 were established in major cities in the nation including Seoul, Busan, Incheon, and Wonsan where many Japanese migrated. A new banking system was also established by the Chosun private capital sector in Seoul and Suwon. Much of the bank loans were allocated for Japanese commercial activities in Chosun. The Chosunsiksan bank established a national banking network in 1943. Many small-scale banks were merged into two major banks, Johueng bank and Chosunsangup bank, by the New Bank Act in 1928. In 1943, as many as 36 banks were located in Seoul, as a result, the city became the center of financial resour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