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6.69
3.21.106.69
close menu
KCI 후보
사회규범의 공공성에 관한 법가의 인식(2): 한비자(韓非子)의 "인,의"(仁,義) 비판에 대한 유가의 응답
On the Legalist`s Conception of Publicity of Social Norms: A Confucian Response to Han Fei-tzu`s Critique on Benevolence
이승환 ( Lee Seung Hwan )
시대와 철학 14권 2호 377-407(31pages)
UCI I410-ECN-0102-2009-150-003738917

한비자는 공적영역에서 인의와 같은 도덕적 가치를 배격하고자 했다. 인의가 신하의 손에 의해 시행되면 신하의 세력이 확대되어 군주의 권위를 해치게 되고,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할 공적 세계에 인의라는 사적 도덕이 개입하게 되면 사회적 신뢰를 훼손 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의 본성은 비열하여 도덕으로 다스릴 수 없으며, 도덕의 시대는 가고 힘으로 다투는 시대가 되었다는 한비자의 시대인식은 결국 인의를 배격하고 법과 형벌만을 유일한 사회규범으로 여기게 만든다. 한비자의 이러한 입장에 대하 여 인의와 덕치를 주장하는 유가에서는 어떠한 응답을 할 것인가? 본고에서는 한비자 의 인의 비판에 대해 유가에서 내놓을 수 있는 가능한 응답들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한비자와 유가의 비교적 고찰을 통하여, 서로 상충하는 듯이 보이는 양자간의 입장차 가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으며, 두 사람의 주장은 서로 다른 차원에서 각기 효력을 지닌 주장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Han Fei-tzu, in his political theory, rejected moral virtues such as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He was afraid that If the virtues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were exercised by ministers rather than by the ruler, then the authority of the ruler would be seriously damaged. Moreover he was anxious about the collapse of social trust when private virtues are applied to the realm of public domain. Concerning Han Fei-tzu`s rejection of moral virtues, what kind of answers could Confucian scholars give? In this paper, I tried to draw probable answers that Confucian scholars such as Confucius and Mencius would provide. Through a hypothetical conversation between Confucian scholars and Han Fei-tzu, I will show that those seemingly conflict and dichotomy between Confucian scholars and Han fei-tzu will be dismissed as a pseudo collision, and arguments made by each scholars have effectiveness and legitimacy in each`s political con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