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48.24
3.144.248.24
close menu
KCI 후보
중국유가철학에 있어서의 이성과 욕망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 and Desire in Chinese Confucianism
정상봉 ( Jeong Sang Bong ) , 황갑연 ( Hwang Gab Yeon ) , 전병술 ( Jeon Byeong Sul ) , 안재호 ( An Jae Ho )
시대와 철학 14권 2호 501-525(25pages)
UCI I410-ECN-0102-2009-150-003739025

중국유가철학에서는 공자가 극기복례를 말한 이래 맹자의 과욕론을 제기하면서 욕망의 절제를 강조하였다. 그 근거로는 사람을 도덕이성의 담지자로 규정한 것을 들 수 가 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욕망을 추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욕망을 대표하는 것으로는 식욕ㆍ성욕ㆍ물질적 이익 추구 등이 있지만 욕망의 추구가 도덕이성의 기준, 즉 도리에 합당하지 않다면 욕망을 절제해야 한다는 것이 송대까지의 기본적인 관점이었다.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없애야 한다는 신유학의 구호도 사실 공과 사의 기준에 입각하여 주장된 것이다. 그러나 명대에 이후 사회구조에 변화가 생기면서 몸[身]과 욕망[欲]을 중시하는 태주학파가 등장하였고 청대의 왕부지는 욕망 긍정을 주장하게 까지 되었다. 이것은 도덕이성과 욕망의 이분법적 대립구조의 해체를 반영하고 있으며 근대 문화의 초석을 깔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Chinese Confucianism, Kongzi laid emphasis on Ke-ji-fu-li(克己復禮), and Mengzi insisted upon the theory of unselfishness. It is on the assumption that man has a moral reason innately. As long as we live, it is natural that we pursue our desires, e.g. desire to eatㆍsexual desireㆍthe pursuit of material benefits etc. But if the pursuit of desires didn`t appropriate to the standard of moral reason, it needs to control our desires. This is a basic viewpoint till Song Dynasty. The slogan of Neo-Confucianism, "Cun-tienliㆍQu-renyu(存天理ㆍ去人欲)" was based upon the public and private affairs. After Ming Dynasty, as the structure of society has been changed, the school of Taizhou stressed on body and desire. Wang Fu-Zi in Cheng Dynasty affirmed the importance of desires. It represented the destruction of dichotomy between moral reason and desire, and laid the foundation of modern cul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