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93.232
18.118.193.232
close menu
KCI 후보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에서의 "-어하(□)-" 의미 고찰
A Study of the Meaning of "-eoha-"
박용식 ( Yong Sik Park )
배달말 34권 51-67(17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2401895

감정·감각동사 구문에서 경험주로 보아왔던 `나`가 `-어하-`가 통합한 구문에서 대상으로 해석된다. `-어하-`가 통합하지 않은 감정·감각 표현은 말하는 사람과 경험주가 일치되어야 자연스러운 반면 `-어하-`가 통합한 감정감각 표현은 말하는 사람과 경험주가 달라야 더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어하-`가 통합한 표현은 말하는 사람인 `나`가 자신을 대상화시켜 자신의 감정·감각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어하-` 통합 표현은 `-어하-`가 통합하지 않은 표현 비해 말하는 사람이 자기 자신을 객관화시켜 말할 때 자연스러운 반면 그렇지 않으면 부자연스러운 표현이 된다. 그리고 현대국어의 `-어하-`에 비해 동사나 색채형용사와도 통합하는 중세국어의 `-어ㅎ、-`도 현대국어의 `-어하-`와 그 의미가 다르지 않게 기술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중세국어의 `-어ㅎ、-`도 현대국어의 `-어하-`와 마찬가지로 말하는 사람(서술자)가 동사의 동작주, 심리술어의 경험주, 색채형용사의 대상을 좀더 객관화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tried to interpretate the intrinsic role of `-eoha-`, in view of substantial use of language. We showed that intrinsic roles of `-eoha-` have close relation to `na`, speaker that is first pronoun at usual communication state. Na who is experiencer at the emotion-sense construction, is interpreted into `object`, when `-eoha-` attaches to the emotion-sense construction. It is reason why non-`-eoha-` attachment expression require a condition that experiencer and speaker must be coreference, on the other hand, `-eoha-` attachment expression require a condition that experiencer and speaker must not be coreference. It is `-eoha-` attachment expression that speaker objectfy himself and speaks his own emotion and sense. So, it is concluded when speaker speak himself as objectified one, `-eoha-` attachment expression is more natural than non-`-eoha-` attachment expression. This is reason why `-eoha-` attachment expression can be changed into an interrogative, even if experiencer is first pronoun `seosi` that is poet written by Yun, Dongju. Most readers understand that na in `-eoha-` attachment expression is more afflicted at wind in the leaves than in na in non`-eoha-` attachment expression. This reason is that poet expressed his feeling objectively, not restricting inside his own sou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