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96.184
18.117.196.184
close menu
KCI 후보
목적론적 자연관에 대한 재검토
A Reexamination of the Teleological View of the Nature
박찬국 ( Chan Kook Park )
시대와 철학 15권 1호 292-323(32pages)
UCI I410-ECN-0102-2009-150-002324533

현대의 과학기술문명이 같릴레이나 데카르트의 철학처럼 자연을 `수학적으로 계산가능한 연장적 사물`(res extensa)로 보는 대적인 자연이해가 중세를 지배했던 고대나 중세의 목적론적인 자연이해를 대체하면서 가능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널리 인정되고 있다. 대가 진행되면서 데카르트적인 자연관은 세계를 `계산 가능한 에너지들의 연관체계`로 고찰하는 자연관으로 심화되었다. 그러나 자연을 조작가능한 에너지들의 작용연관체계로 보고 인간을 자연과 대립된 주체로 보는 대적인 자연지배는 인간 자신이 자연에 속하지 않을 경우에만 인간의 해방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런데 인간도 자연 안에서 태어나서 자연 안에서 죽어 가는 자연적인 존재자차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는 한, 과학적인 대상화는 결국에는 인간에게까지 미치게 죈다. 이에 따라 데카르트가 인간의 의식을 자연과 철저하게 분리시켰던 반면에 현대기술문명은 데카르트적인 자연관을 철저하게 밀고 나가면서 인간의 의식조차도 계산 가능한 에너지로 규정하게 된다. 즉 레스 코기탄스(res cogitans), 즉 인식하는 자로서의 인간은 단지 복잡한 레스 엑스텐자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관주되며, 인간을 주체로 보는 고철방식은 비과학적인 사고방식으로 간주되게 죈다. 목적론을 인간 이외의 다근 자연적인 존재자들도 일종의 주체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는 의인관으로 비판하면서, 이러한 의인관에 빠지지 않기 위해 자연을 인간과 전적으로 다른 것으로 보게 뇔 때는 인간 자신의 주체성마저도 부정되고 인간도 객관적인 조건들에 의해 결정되는 수동적인 기능인자로 전락하게 되는 역설적인 결과가 빗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자들이 각자의 고유한 목적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내재적 목적론이야말로 인간의 주체성과 아울러 자연과 인간의 공생 그리고 인간들 강호 판의 우애를 가능하게 하는 사상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바, 이러한 목적론의 정당성과 그것의 현대적인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부분은 현대과학기술문명을 규정하고 있는 대적 자연이해의 성격과 그것의 문제점을 대문명의 대교적인 현상이차고 할 수 있는 근대과학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부분이다. 둘째 부분은 목적론적인 자연관의 핵심적인 네용과 그것의 정당성을 살펴보고 그것에 대해서 보통 제기되는 반론들을 검토하는 것과 동시에 목적론적인 인간관과 신관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는 부분이다. 세째 부분은 일종의 결론부분으로서 목적론적인 자연관이 현대기술문명에서 갖는 의의와 그것이 근대과학의 인과탐구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간단히 고찰하는 부분이다.

It is broadly recognized that the modem technological civilization was made possible on the basis of the modem view of nature which understands the nature as mathematically quantifiable `res extensa`. Galilei and Descartes, the pioneers of this view of nature, thought that human beings can emancipate themselves from the status of nature`s slavery by utilizing modem science itself. Well, this view of nature can contribute to the emancipation of human beings only if they are not a part of the nature. Because human beings are born and die in the nature, sciences would end up with eventually objectifying even human beings. While Descartes strictly distinguishes human consciousness from nature, the contemporary science investigates even the human consciousness as physical and chemical energies. The modem view of nature came about as a replacement for the teleological view of nature. The teleological view dominated the ancient and the middle ages. The modem view criticized the teleological view as anthropomorphic. But the modem view denies even the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when it distinguishes the nature from human beings in order to avoid the error of anthropomorphism. The human beings have been degraded to the passive factors that are determined by objective conditions.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justifiability of immanent teleology and its significance for our age. I argue that immanent teleology can provide a philosophical basis for the symbiosis of nature and human beings and for the mutual respect of human beings. This paper is composed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the modem view of the nature and its problematic are investigated. In the second part, the teleological view of the nature, its justifiability and the traditional arguments against it are investigated. In the third part, the significance of the teleological view of nature for our technological age is investiga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