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51.117
18.116.51.117
close menu
합리성과 정책연구
Artucles : On the Concept of Rationality and Policy Studies
최종원
한국정책학회보 4권 2호 131-160(30pages)
UCI I410-ECN-0102-2008-350-001643393

합리성 연구의 이론적·실제적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국내의 합리성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다양한 의미, 차원, 그리고 내용을 갖는 기존의 복잡한 합리성 논의를 정리하고, 혼동된 논의에 일정한 틀을 제공함으로써 관련학자들간에 합리성 연구에 관한 의사소통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우선 제2장과 제3장에서는 완전한 의미의 합리성(full rationality)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제2장에서는 합리성 연구의 범위를 규범적 연구, 기술적 연구, 그리고 설명적 연구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 전자의 두 연구에 비하여 설명적 연구의 상대적 부족현상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설명적 용도의 합리성 개념의 내용과 구조를 논의하였다. 합리성 개념을 크게 개인적 합리성과 집단적 합리성으로 구분하고, 각각을 협의와 광의로 다시 세분하여 네 가지 유형의 합리성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때, 협의와 광의의 구분은, 협의에서는 의사결정자의 행동목표(소망, 선호)와 신념이 외생적으로 주어졌다고 가정되고, 광의에서는 그러한 가정이 없다. 또한 협의에서는 소망과 신념의 내적 일관성만이 문제되며, 그의 내용적 합리성은 문제삼지 않으나, 광의에서는 내용적 합리성이 요구된다. 제4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완전한 의미의 합리성(full rationality)에 대한 대안적 의미의 합리성을 고찰하였다. Simon의 절차적 합리성(procedural rationality)의 내용을 개괄한 후, 절차적 합리성과 직관적 합리성(intuitive rationality)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인과 집단의 의도성이 전제되지 않는 합리성 개념인 진화론적 합리성(evolutionary rationality)의 내용과 이러한 합리성과 완전한 의미의 합리성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합리성 연구의 논의가 정책연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규범적 정책연구에서 지향하여야 할 합리성의 개념을 살펴본 후, 합리모형을 이용한 설명적 정책연구 수행시 유의하여야 할 문제들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고찰하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