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60.29
3.145.60.29
close menu
KCI 후보
"숭고"에서 "정신분열"로: 스티븐스와 애쉬베리
From "Sublime" to "Schizophrenia": Stevens and Ashbery
구태헌 ( Tae Hun Ku )
UCI I410-ECN-0102-2009-840-00036290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숭고`(sublime)에 대한 칸트(Immanuel Kant)의 정의는, 인간의 재현 행위 너머에 있는 이념이 감지되는 순간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숭고한 것은 자연 속의 어떤 대상인데, 그것을 재현하려던 마음은 자연 속의 그 불가해한 것을 이념들의 제시로 받아들이기로 결정하게 된다"(Kant 109). 칸트의 숭고가 흔히 `부정적 숭고`(negative sublime)라 불려지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인데, "자연 속의 불가해한 것"과의 대면으로 인간의 인식 행위가 실패하는 부정적인 순간은 오히려 초월적 이념의 존재를 깨닫는 숭고한 순간이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칸트에게 이념은 부정적으로만 인간에게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의미 부재의 순간이 절대적 의미를 획득하는 순간이 되는 이 모순적인 숭고의 드라마의 주인공은 물론 이념이다. 이념을 통한 숭고화 과정을 통해 대양이나 폭풍 같은 "절대적으로 큰"(absolutely great) 것과의 대면이 일으키는 인식론적 위기의 순간이 극복되고, 세계는 다시 일관된 논리 체계 안에 얌전히 자리 잡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부정적으로만 제시된다는 것은 그 존재가 완전히 부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칸트의 이념은 신에 대한 근대의 허구적 대체물에 다름 아닌 것이다. 따라서 이념의 허구적 지배 아래 묶여 있던 세계는, 순식간에 요동치고 모든 것을 삼키는 심연이 곳곳에서 어두운 입을 벌리게 된다. "자연의 불가해한 것"이 더 이상 "이념의 제시"로 이해되지 않고, 이제 프로이드(Sigmund Freud)의 "기괴한 것"(the uncanny) 또는 모더니즘의 "황무지"(the waste land)가 도처에 출몰하게 되는 것이다. 가령, "자연 속의 불가해한 것"이 더 이상 숭고한 대상으로 제시될 수 없는 현대적 상황에 대해,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는 다음과 같이 "대상이 없는 욕망"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decreation" in Wallace Stevens` and John Ashbery`s poems with the help of some classical arguments on `the sublime` and `schizophrenia.` If it is not possible any longer to restore such a breakdown caused by the encounter with the unnamable in the name of God or `ideas,` how can such a epistemological crisis be overcome in modern times `the uncanny` strides instead of `the sublime`? This question is what we will examine in this paper focusing on Stevens` and Ashbery`s poems. Walllace Stevens` "desire without an object of desire" can be said to indicate well the moment we encounter the unnamable and fail to represent it. Instead of refilling the epistemological gap with such transcendental terms as God or `Ideas,` Stevens presents a peculiar way to overcome this crisis, which is called "abstraction" or "decreation" by the poet himself. Like "nothing" in "The Snow Man" or "empty" in "American Sublime," Stevens presents "the nothing that is" as the moment we can have a sublime encounter with something like "the sun" to reestablish new order in this waste land. John Ashbery`s "decreation" is differentiated from Stevens` one in that he presents "emptiness" or "nothing" as not a sublime and central signifier such as Kant`s "ideas" or Stevens` "nothing," but a theater various emotions can pass freely. That is, Ashbery`s "emptiness" indicates an empty space to make it possible that "irrational" and formless emotions, which originally resist being named, repeat appearing and disappearing, or "being emoted on." In this empty space, self come to have a presentiment of the noises the bus will make over streets instead of seeing "the nothing that is." Soon, our mind or "desiring-machine" will clatter along these schizophrenic streets and "the empty space" be filled with violent emotions, which moment is often called "rapture" by Ashbe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