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50.89
3.17.150.89
close menu
KCI 후보
남훈태평가 소재 시조에 나타난 여성 인물상의 특징적 경향과 의미
Distinctive tendency and significance of female characters of Sijo in Nam Hun Tae Pyong Ka
최규수 ( Kyu Soo Choi )
UCI I410-ECN-0102-2009-810-000368507

이 글은 남태 소재 시조의 특징으로 거론되는 주정적 주제화, 특히 사랑의 형상화에 있어 어떠한 변인이 있는지를 인물의 측면에서 살핀 논의이다. 남태의 자료적 가치를 방각본/시조창 가집에서 찾는 기왕의 논의 성과를 주목할 때, 시조 대중화의 경향성은 인물상의 형상화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캐릭터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소수가 아닌 多衆의 향수를 주목하고 저작권만큼이나 廣布의 영향력과 인지도를 살피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물론, 編者도 作家도 記名되지 않은 남태의 특성상, 인물상 논의의 출발점은 남태 소재 시조 역시 (시조)문학이면서 (시조)노래인 양면성을 전제하는 데 있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 작품의 개작 방향을 살펴 새로운 인물상 형성의 토대를 짚어보았다. 구어체 종결어로의 변화를 수반한 새로운 공식구의 등장은 관계의 대등성을 지향하며 사랑에 대한 폐쇄적 몰입을 거부하는 인물상 형성의 기본 토대를 말해주는 것이며, 이는 이러한 어법의 수요자인 남태 소재 시조 향수층의 공감대적 토대와 연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여성 인물상 형성의 특징적 양상을 주목한 결과, 지칭의 변화와 같은 사소한 변이를 통해 일상적 여성 인물상의 표면적 부상에 성공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나아가 남태 소재 시조에서 아녀자의 인물상이 다소 우악스럽게까지 형상화된 것과, 소심한 소장부의 인물상이 부각되는 면모는 전대 시조의 규범과 이상형을 깨고 있다는 점에서, 리얼리티의 문제와는 별개로 유의미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19세기 시조사에서 방각본가집의 보급과 시조창법의 간편성이 뒷받침되어 나타난 대중화의 한 양상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if there is any cause of change in affectional theme which is told as feature of Sijo in especially in figuration of love. The tendency of popularization of Sijo may have affected figuration of characters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existing results of discussion that is looking for the value as data of from `Bang Kak Bon/ Sijo Chang Kajip. To discuss the character, it is also important to focus on majority and widespread influence and cognition. Of course, by the feature of that registers neither editors nor writers,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of characters lies on presupposing both faced song of Sijo in which is (Sijo) literature and (Sijo) song as well. To Sum up the result of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 examined the basis of new formation of the characters by observing the trend of adaption from existing works. The appearance of new formula phrase which accompanies changes as colloquial closing words is the foundation of formation of the character which aims toward the equality of relationship and refuses closed absorption in love. And this is connected with sympathetic foundation of devotees of Sijo in who are the demanders of this kind of wording. Next, as a result of observing distinctive aspect of formation of female characters, it appears that female characters is rising to the surface through slight change. Besides, describing female characters as a little tough in Sijo of and highlighting the character of timid man are meaningful points separately from reality problem on the respect that they break the standard and the ideal of the last period. This is also an aspect in the history of 19 Century`s Sijo that appears from popularization supported by the spread of `Bang Kak Bon` and the simplicity of Sijo Cha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