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9.239.71
3.239.239.71
close menu
KCI 후보
기획 특집 : 이미지와 표상으로서 여성성의 형성과 재구 ; 심미적 범주로서의 성차와 여성 주체
"Gender Difference" as an Aesthetic Category and the Establishing the Female Subjects
김주현 ( Joo Hyoun Kim )
UCI I410-ECN-0102-2008-810-002550949

본 논문은 여성 성별에 기초한 심미적 경험의 특수성을 밝히고 동시에 여성의 심미적 경험으로부터 여성 주체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개인의 성별적 차이가 심미적 경험의 차이로 형성되고 동시에 심미적 차이로부터 개인의 성별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심미적 실행과 정체성 실행이라는 두 과정은 단선적이거나 순차적이지 않다. 이들은 서로를 추인하고 조응하면서 경계와 간극을 넘어 개인과 세계 안에 여성주의를 심미적 형성물로 현실화시키는 심미적 행동주의(aesthetic activism)의 두 양상이다. 따라서 심미적 행동주의는 성별 정체성의 토대주의를 반대한다. 1장은 전통 미학이 고수해온 탈성별화된 내포적 주체(implied subject)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다. 전통 미학에서 예술작품은 고정된 실체이다. 이때 심미적 주체는 오직 작품의 내적 논리에 의해 형성된다. 내포적 주체는 작품으로부터 허구적으로 구성되지만, 그 정체성은 작품을 통해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해석이나 경험의 가능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심미적 주체를 내포적 주체로 간주하는 것은 심미적 경험이 성별과 같은 개인의 구체적인 정체성 범주와는 무관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 여성 주체의 가능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2장에서는 여성적 응시와 실제 주체(real subject, historical subject)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심미적 주체를 실제 주체로 간주하는 것은 초기 여성주의 문화 이론가들에 의해 지지되었다. 그들은 현실을 살고 있는 여성들의 관점이 각자의 심미적 경험 안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이론들은 실제 여성들을 부정적인 방식으로 규정한다. 곧 실제 여성들이란 언제나 남성적 시선을 통해 규정된다. 따라서 실제 주체는 남성적 시선으로부터 벗어나 여성 주체를 긍정적으로 모색할 이론적 여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다른 한편, 실제 주체를 주장하는 미학이 갖는 더 심각한 결함은 `실제 여성`을 전제한다는 것에 있다. 그러나 보편적인 실제 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수많은 다양한 여성들이 존재할 뿐이다. 여성들의 차이가 엄연히 존재하는 가운데 실제 여성 주체를 통해 다양한 여성들의 심미적 경험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3장에서는 여성들의 심미적 경험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심미적 주체를 가설적 주체(hypothetical subject)로 제안한다. 가설적 주체는 개인의 구체적인 맥락과 관점에 기반한 창조적 해석을 통해 독특한 심미적인 경험을 하며 동시에 그것을 통해 스스로를 재형성해나간다. 가설적 주체란 역사적 현실의 관점적, 맥락적 위치를 반영하지만 동시에 심미적인 경험에 돌입하는 순간부터 그 경험을 통해 자신의 현실적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적 주체는 존재 생성적이다. 심미적 행동주의가 상대주의에 빠지지 않는 것은 가설적 주체가 역사적으로 위치 지워져 있기 때문이다. 4장에서는 심미적 주체로서 여성들이 다양한 가설적 위치를 가질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양한 여성들은 심미적 경험을 통해 자신들의 구체적인 역사적 현실에 기반하지만 동시에 창조적으로 재조정된 가설적 위치를 찾게 된다. 가설적 위치를 찾는 것부터가 심미적 행위이다. 여성들은 가설적 주체로서 심미적 행위를 하고 그로부터 자신의 성별 정체성을 변경해나간다. 또 다른 가설적 위치로 옮겨가는 것이다. 여성의 주체 형성에서 성별은 중요한 가설적 위치이다. 여성들은 심미적 행위에서 어떤 순간에는 더 현실에 가깝게, 어떤 순간에는 더욱 가상적으로 자신의 성별을 재구축해나간다. 이처럼 성별을 가설화한다는 것은 가부장제적 성별 체계를 변혁하는 정치적 행위이다. 심미적 행위를 통해 포스트-성별의 주체들을 구축할 수 있다. 이것이 가설적 주체의 심미적 액티비즘이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path and manner of the establishing the femal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esthetics of difference. I envisage both the procedure of the establishing the female subject and the women`s aesthetic experiences. The gender of an aesthetic subject results in the gender difference of an aesthetic experience. At the same time, one`s gendered aesthetic action makes up one`s own gendered self-identity. My main concern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esthetic performance and the identity performance. The two performances are two modes of the aesthetic activism. An aesthetic action doesn`t only create an aesthetic imagination but also replaces the real world to the imaginative world itself. The two gendered performance lead to and response to each other. As the result, an aesthetic action manifests an feminist world as an aesthetic imagination in a person and a world. So an aesthetic action is political. In the first chapter, I critically analyse the degendered `implied subject` of the traditional aesthetics. The traditional male-centered aesthetics, such as formal aestheticism from Kant to the analytic aesthetics before late 1980`s, insists that an artwork is an entity completely finished by its artist and an aesthetic subject is a imaginative entity constituted from the internal logic of the artwork. The identity of the implied subject is already determined by the artwork. There is no room for the possibility of th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experiences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In the second chapter, I critically analyse the `real subject` proposed by feminist cultural theorists since 1970`s. They insist that a specific aesthetic experience reflects the perspective of the real woman. Partly I agree with them in the aspect of the gender perspectiveness, but I doubt their direct causal relation of the reflection and their presumption of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 real woman. There is not only one real woman but there are the various real women posited in their concrete perspective and context in the world. Because of the many levels of gender differences, the gendered aesthetic experience and subject can not be explained by the real subject. In the third chapter, I suggest the `hypothetical subject` as an convincing alternative for the elucidation of the establishing gendered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female subject. The hypothetical subject experiences the aesthetic uniqueness constituted from a certain creative interpretation in the concrete perspective and context. As the result, s/he re-builds one`s own identity. The hypothetical subject reflects the perspective and the contextual position of the historical reality. In other hand, it alters own`s real position via an aesthetic experience. Therefore the hypothetical subject is onto-genetic. In the forth chapter, I argue the women can be in the various hypothetical positions as the aesthetic subjects. Aesthetic actions begin with the selecting the hypothetical positions. So the gender is reflected to own`s aesthetic experience directly and indirectly. At some time, the hypothetical gender position is selected more realistically, and another time, it is selected more imaginatively. To hypothetize the gender is the political action to deconstrut the patriarchal gender system. It means that the post-patriarchal subjects are reconstructed by the aesthetic actions. This is an aesthetic activism of the hypothetical subje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