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05.246.61
34.205.246.61
close menu
KCI 후보
자하(紫霞) 신위(申緯)의 아내와 딸에 대한 인식 고찰
A Study on Wee Shin`s Idea of His Wife and Daughter
김경숙 ( Kyung Sook Kim )
UCI I410-ECN-0102-2008-810-002550005

자하 신위는 자신의 시에서 아내와 딸에 대한 애정을 절절하게 숨김없이 표현하였다. 이러한 예는 다른 사대부 문사에게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아내 특히 正室에 대한 일련의 시는 悼亡詩인데, 지극히 애절한 감정을 토로하였다. 신위의 정실은, 43년간 결혼생활을 하였으며, 신위가 32세에야 벼슬길에 나아간 뒤 부침과 견책으로 이어진 고난과 궁핍한 생활을 함께 한, 신위의 말을 빌리자면 `이 싫은 세상의 온갖 근심`을 함께 한 糟糠之妻였다. 또한 정실은 30살에야 딸 하나만을 낳았는데, 그 후 맞아들인 추실은 4남1녀를 낳았다. 신위는 두 아내가 사이좋게 지내기를 희망했고 사이좋다고 믿었다. 그러나 사대부 가문에서 아들을 낳지 못한 정실이 그 오랜 세월 흘렸을 피눈물은 상상할 수 없는 것이다. 정실에 대한 애정뿐 아니라 이와 같은 두 가지 이유가 더하여져 신위는 아내에 대한 情恨을 애절하게 토로하였다. 딸에 관련하여 쓴 시들은 죽은 딸이 아니라 `살아있는 딸`을 대상으로 했다는 가치를 지닌다. 이는 많은 사대부 문사들의 경우 딸이 죽은 다음에야 祭亡文, 墓誌銘, 行狀 등을 썼던 점과 비교할 때 더욱 의의가 있다. 특히 <送李婦洪鄕 作八十韻>은 160구의 長詩인데 딸을 어쩔 수 없이 시댁으로 떠나보내야 하는 아버지의 슬프고 원통한 마음을 눈물로 형상화한 보기 드문 작품이다. 정실의 유일한 소생인 長女는 정실과 신위의 무한한 애정의 대상이었다. 아들보다 낫다고 하며 애지중지 키웠는데 이는 아들을 더욱 우위에 두었던 당대 풍속과 비교하자면 획기적인 것이다. 또한 당시 일반적이던 혼인형태인 `于歸`가 아니라 `男歸女家婚`을 통해 데릴사위를 맞이하였다. 지방의 인척 가문에서 둘째 아들을 선택해 영원히 데리고 살고자 계획하였으며 자신이 春川府使로 나갈 때도 딸 내외를 데려 갔다. 견책을 당해 10년간 이어진 궁핍한 생활 속에도 딸이 함께 살며 위안을 주었다. 그러나 집에 온전한 치마폭 하나 없을 정도였던 긴 궁핍 뒤 조강지처가 사망하였고, 그 뒤 반년도 안 되어 딸마저 시댁으로 떠나야 하는 불행이 닥쳤다. 이에 신위는 딸의 떠남을 정실이 죽은 것과 같이 생각했고 나아가 딸의 죽음 자체로 여겼다. 이는 당시 여성들이 시댁으로 들어간 뒤 죽어서도 친정을 다시 찾을 길이 없었기 때문이다. 신위는 조선후기 결혼제도의 굴레가 `딸`뿐만이 아니라 `부모`에게도 가혹한 형벌이었음을 역설한 것이다. 아내와 딸에 대한 묘사에서 신위는 다른 사대부 문사와 달리 公的인 태도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신위에게 있어 이러한 겉치레의 언사는 전혀 필요 없었던 것이다. 오히려 아내와 딸을 자신이 얼마나 사랑하고 얼마나 그리워하는가를 읊었다. 아내와 딸은 신위에게 있어 오직 애정의 대상이었던 것이다. 이에 신위는 자신의 애정과 슬픔을 숨기지 않고 나타냈으며, 아내와 딸을 떠나보내는 처절한 슬픔을 통해 여성(아내/딸) 못지않게 남성(남편/아버지)도 고통을 받았음을 나타내었다. 이는 신위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다른 남성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고통이었는데, 이를 솔직하게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신위의 아내와 딸에 대한 인식은 신위 자신의 입장에서 진행된다는 아쉬움을 지니지만, 다른 사대부의 여성을 화자로 내세웠으나 여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생동감을 찾기 어려운 시문과는 달리, 아내와 딸에 대한 자신의 애정을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도리어 아내와 딸이 살아있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들게 한다.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였기 때문에 아내와 딸의 형상화가 오히려 진실에 가깝게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점을 숨김없이 솔직하게 더구나 문학적으로 우수하게 형상화하여, 우리로 하여금 공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은, 외부의 시선을 두려워하지 않은, 사대부의 솔직한 속내를 들여다볼 기회를 갖게 하였기에, 신위의 아내와 딸에 관한 일련의 시들은 가치가 있다.

Wee Shin, in his poetry, showed his love for his wife and daughter honestly and earnestly. There had not been cases like this in any other Sadaebu[士大夫]`s poetry. The poetry about his wife, especially about lawful wife are condolatory poetry[悼亡詩], which expressed his sorrowful feelings. Wee Shin and his wife had 43 years of married life. His wife was an old life partner who had shared difficulties and distress. And she had a daughter at her age 30, but the concubine who was taken after the daughter`s birth had 4 sons and 1 daughter. He wished and believed that the two wives would be on good terms with. But nobody can imagine the tears of blood of her who could not bear a son in Sadaebu family. Not only because of love for her but also because of the two reasons, he expressed his love and sorrow about his wife. The poetry about his daughter are valuable for they are not about dead daughter but about `lving daughter`. The other Sadaebus usually wrote records after the death of their daughters. So compared with it, Wee Shin`s poetry are significant. Especially is a long poem of 160 phrases, it described sad and grief mind of a father with tear who had to send his daughter to the esteemed family of her husband. Wee Shin and his wife loved the daughter boundlessly. Also they said the daughter was better than sons. It was epochmaking at that time. And he adopted the son-in-law taken into his family, and it was not a common case. He intended to live with them forever. For 10 years poverty caused by an official reprimand he found his comfort in her. But after that time, his wife died, and it did not take half a year until his daughter had to go the esteemed family house of her husband. It was a disaster to him. He thought as if she had been dead. Because at that time women could not visit parents`s home once they went to the house of their husbands. By this poem, he emphasized that the marriage system of the late Chosun Dynasty was a punishment not only to daughters but also to their parents. Wee Shin did not showed official attitude in these poetry. He did not need dressing up words. Instead he recited how much he loved and missed his wife and daughter. So he expressed that man(husband/father) had been suffered as severely as woman(wife/daughter). It was applicable to all men, but only he describe it straight. He was faithful to his emotion, so that his wife and daughter seems like living person to us. By these honest and distinguished poetry, he let us get a chance to have a good look at the bottom of a Sadaebu`s heart which was not fettered by public formula, was not afraid of other`s eyes. So they are wort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