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43.181
3.15.143.181
close menu
화법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 방안 : 특집 ; 초,중,고교 듣기와 말하기 : 제7차 듣기 교육과정의 개정에 관한 소론
The Proposal about Revision of 7th Listening Curriculum
권순희 ( Soon Hee Kwon )
화법연구 8권 9-32(24pages)
UCI I410-ECN-0102-2008-710-002580102

학문을 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이해하듯이 교육을 통해서도 인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듣기나 듣기 교육을 통해서도 궁극적으로는 인간에 대한 이해로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인성 교육이 국어교육의 본질을 바라보는 관점을 흐리게 할 수 있다는 우려와는 달리 인성 교육이 국어교육의 본질을 바라볼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창의적 언어 사용 능력의 신장``에서 ``언어 사용을 통한 인간의 이해``로 국어교육 목표 설정을 제안하였다. 인성 교육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듣기 교육과정을 개정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정의적 영역인 태도 교육을 앞세우는 방향 설정을 제시하였고 반응적 듣기 교육을 상정하였다. 정의적 영역 교육을 지식 내용 영역의 교육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주장은 뇌과학의 축적된 연구 결과에 근거한다. 반응적 듣기 교육은 기존의 듣기 과정 위주의 분석적인 연구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기존의 연구가 듣기의 종류를 비판적 듣기, 분석적 듣기, 감상적 듣기 등의 논의로 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였다. 본 논의를 바탕으로 듣기 교육과정 내용 구안틀을 정의적 영역, 기능적 영역, 지적인 영역, 개인 실행적 영역과 관계 실행적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세 영역에 대한 하위 요소를 언어와 시각적 언어 요소, 인간 요소 (발화 대상 주체로서의 인간), 인간을 둘러싼 관계 및 문화 요소, 상황 요소로 제시하고, 실행적 영역에서는 정보를 전달하는 말 듣기, 설득 하는 말 듣기, 정서 표현의 말 듣기, 친교의 말 듣기로 제시하였다.

The current ai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urriculum is "Improvement of creative language use ability". An alternative obj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roposed as "Understanding of human through language use". On the assumption that listening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emotional attitude education and responsive listening education were proposed. The suggestion that emotional attitude education should precede knowledge education was based on the cumulative results of brain sciences. The responsive listening education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idea instead of previous listening education models, critical listening, analytical listening, and appreciational listening. Through this study, a listening curriculum was proposed as the four domains; emotional, functional, intellectual, practice domain(personal practice domain and relational practice domain). As the lower level elements, linguistic and visual element, human element, relational and cultural element, and situational element were proposed. As the practical domain, listening of information transfer, listening of persuasion, listening of emotional expression, and listening of friendly relation were sugges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