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90.50.252
52.90.50.252
close menu
화법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 방안 : 특집 ; 초,중,고교 듣기와 말하기 : 고교 화법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 방안
Critical Analy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Speech Education"
이창덕 ( Chang Deok Lee )
화법연구 8권 33-69(37pages)
UCI I410-ECN-0102-2008-710-002580091

본고는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국어과 심화 선택 과목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화법`` 교육과정을 시행 절차나 방법이 아니라 이론과 체계 차원에서 개선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논의했다. 화법 이론이나 화법 교육 이론과 교육과정 체계(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드러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차원에서 화법 교육의 효용성과 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론 차원의 문제점은 국어과 교육과정에 모국어 교육 철학에 바탕을 둔 국어과 교육과정 이론의 부재를 지적했다. 학습자들의 적성과 진로를 위해 고교 심화 선택 과정에 개설된 ``화법`` 과목 특성에 맞는 이론을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데 그 이론이 없다는 문제를 지적했다. 또, 세계화, 정보화를 내세우고 개인 능력과 수준차이를 고려한 신자 유주의 경쟁 이론을 도입하여 국어과에도 수준별 편성(물론 단계별 수준 편성은 아니지만 심화·보충형 수준별 편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보다는 협동과 상호존중의 정신을 강조해야 하는 언어생활의 기본 도리를 생각할 때 말하기 듣기나 화법 영역에 수준별 교육을 강조하는 것은 잘못된 적용이라고 보았다. 모국어 화법 교육은 모든 기본 지식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학습시키기보다는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생활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화법 교육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보았다. 화법 생활에서 모자라는 부분을 보강하고, 또 문제 요소들을 찾아 조정하고 해결해 나가도록 상위인지를 강화해주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화법``과목의 성격과 목표 영역의 문제점으로 ``화법 과목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국민 공통 교육 기간의 말하기·듣기영역의 교육 내용을 심화시키는 측면과 대학에서 교양 강좌를 배우기에 앞서 배우는 교양 강좌``라고 특성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학습자의 개인적 적성과 진로 차이``를 고려해서 개설한 심화 선택 과정인 ``화법``은 공통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교육과는 다른 성격 규정과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목표 설정도 지식과 기능의 이해와 숙달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 등에도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화법`` 내용 영역에서는 첫째, 본질, 원리, 태도, 그리고 실제로 구분된 내용 체계 설정 방식과 각 영역의 하위 범주 내용 설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용어 개념 규정이 모호하고, 하위 범주 내용과 설정 기준이 불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수준별 내용 체계를 강조하고 있는데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을 기초조사하지 않고 정한 수준 위계화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모국어 음성언어 교육이므로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하고 있는 지식과 기능을 제외한 모르고, 하지 못하고 있는 영역, 문제되는 영역을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내용 재구성하도록 제안했다. 학습 요구가 높은 특정 유형의 화법으로 내용 범위를 좁히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임을 제안했다. 교수-학습 영역의 문제점은 그것들이 대부분 목표와 내용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의 12가지 지침과 교과서 개발과 심의 기준 제공 정도라면 오히려 학교나 교사수준에서 목표와 내용에 맞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도록 열어두고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평가 영역의 문제점으로 현 입시위주 교육 운영에서 심화 선택 과 목으로 ``화법``의 한계를 지적하고, 화법 평가는 입시나 서열 위주의 평가보다는 인성과 협동정신 함양을 위한 다양한 평가 목표를 세우고, 화법 능력의 평가 범주와 평가 기준을 제공하여 다양한 평가가 가능 하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바람직하기는 화법 교육과 평가가 연계되어 이루어지고, 다른 영역 교육하면서도 화법 평가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을 구안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Aft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ut into operation, the demand to revise the curriculum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emergence of problems in enforcement the curriculum into every school and the change in educational situ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in the curriculum of ``Speech Education`` and makes a few proposal to improve the formation of ``the Speech Education Curriculum``. First, it is argued that there is no philosophical base for the education of spoken language as a mother tongue. I have insisted that native language education must be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ed a new way of establishing the purpose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the cours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named as ``Education for Language Health Improvement`` that aims to improve every student``s daily life with their words checking their weak points and exercising to strengthen their health. Secondly, in establishing the character and the purpose of ``the Speech Education``, some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in terms of the prescription of the character of ``Speech Education`` as a module to deepen the content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the 10 years common curriculum and to prepare the study of speech in college course. It is argued that the purpose of ``Speech Education`` needs to be focused not only on the knowledge and functions of speaking and listening but on the way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and to reinforce the ability to form a close friendship. Thirdly, in the structure of the speech education contents, the concepts of the key words, ``substance``, ``principle``, ``manner`` and ``practice``, have been criticized. And it is pointed out that without practical data of the ability and needs of the students who will be taught with the curriculum, to systemize and to classify the contents of ``the Speech Education`` is impossible. I have insisted that practical conversation data classified by the student level should be taken into the speech education contents. Fourthly, I have suggested that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devised by the character of the purpose and contents. Restricted suggestions for th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could be obstacles for teachers, therefore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teachers to design a practical methods of ``Speech Education``. Finally, it is argued that for the better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peech Education``, all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has to be changed not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but for the enhancement of ability to cooperate and get together with oth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