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87.103
3.144.187.103
close menu
화법 교육의 문제 ; 교실 소통의 양상과 문제
The Aspects and Problems of Classroom Communication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화법연구 9권 69-114(46pages)
UCI I410-ECN-0102-2008-710-002579985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교실 소통의 양상과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교실 대화 연구의 흐름과 특성, 한국 학교가 처한 현실을 분석하고, 교실 대화의 문제점을 소통 주체, 내용, 방법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 학교는 사회 · 경제 · 문화적으로 격변기에 있으며, 상이한 교육관이 충돌하는 과도기에 있다. 교실 소통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이 변화하고 있으며, 그들을 바라보는 관점도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격변기 속에서 우리 교실 대화는 여러 가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사와 학생 개인 차원의 문제일 수도 있고, 소통 주체들이 맺는 관계나 학교와 학교를 둘러싼 환경, 그리고 이들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문제일 수도 있다. 교실 대화에서 보이는 문제가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해결 방안 모색이 용이하지 않지만, 교실 대화 주체로서 교사의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교사의 학교 소통 문제에 대한 인식과 개선 의지가 필요하며, 실질적인 소통 능력의 향상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교실 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통 주체인 학생들이 올바른 소통 태도와 소양을 기르고, 메타 소통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화법 교육을 내실화해야 한다.

To understand the aspects and problems of Korean classroom communi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flow and characteristic of a study on classroom conversation and the reality in which Korean schools were located, and explored the problems of the conversation in the subjects, content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Currently, Korean schools undergo a soci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udden change in the transitional period when different education views collide with each other. A teacher and his or her students as the subjects of classroom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viewpoint for them are changing. In the sudden change Korean classroom conversation reveals various problems. The problems include a teacher``s and his or her students`` personal problems,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of communicati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schools, and a mixture of them. Variety and complexity of the problems shown in the conversation do not make it easy to seek a solution for them, but a teacher as the subject of the conversation needs to make an effort to communicate positively with his or her students. That is, a teacher needs to have a will to recognize and improve the problems of school communication as well as improve his or her substantial communicative competence. Also, solving the problem of classroom communication requires the substantialization of speech education to enable students as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to foster a right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and culture and develop their meta-communicative compet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