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52.23
18.188.252.23
close menu
화법 교육의 문제 ; 국어과 말하기,듣기 평가 실태 조사 연구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Assessment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조재윤 ( Jae Yoon Cho )
화법연구 9권 115-141(27pages)
UCI I410-ECN-0102-2008-710-002579970

이 글의 목적은 말하기·듣기 교육의 한 과정으로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말하기·듣기평가의 실태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알아 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 교사 204명을 선정(회수 144명)하여 설문 조사하여 SPSS로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국어과 평가 전반과 관련된 실태는 평가 계획서 작성은 주로 학년단위로 이루어졌고,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가 기준표는 형식적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국어과 영역 중에서 말하기, 듣기, 문학의 순으로 평가하기를 어려워했고, 그 이유로는 주로 시간이 많이 걸려서, 평가 기준이 모호해서라고 생각하였다. 국어과 6개 영역의 평가 비율은 읽기와 쓰기 영역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교사가 수행 평가 방법을 실시하였다. 말하기·듣기 평가 관련한 실태는 말하기·듣기 평가의 목적으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꼽았으며, 학교 현장에서 자기 평가와 상호 평가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선택형 지필 평가의 문제점으로는 실제적인 말하기·듣기 능력을 평가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였고, 평가는 주로 마당이 끝날 때마다 실시하였으나, 평가에 대한 피드백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평가 방식은 총체적 평가를 많이 실시하나 바람직한 평가 방식은 분석적 평가라고 인식하였다. 이번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에는 ``평가`` 항에 대하여 많이 보완해야 하고, 실제적인 말하기·듣기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개발해야 하며, 수행 평가의 채점 방식에 대한 연수와 함께 분석적 평가에 대한 평가 훈련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ncretely what the actual condi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assessment was as an educational course at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4 teachers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llow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es using SPSS. In terms of the general assessment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 assessment plan was mainly made according to grades;most teachers suggested that assessment standards applied by schools were formal. In terms of area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y had the greatest difficulty in assessing speaking, followed by listening and literature, because of the need for much time and ambiguous standards. Of the six areas, the rate of assessment was high in reading and writing areas, and most teachers carried out performance assessment as a means of assessment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peaking and listening were assessed for communication competences; self-assessment or mutual assessment failed to be performed actively in school practices. Failure to test actual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was indicated as a problem of multiple-choice pencil-and-paper test;assessment was mainly conducted each time a chapter ended, followed by unsatisfactory feedback on the assessment. While holistic assessment was often applied, they regarded analytic assessment as desirabl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assessment section sufficiently in curricular revision, develop assessment standards to test actual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and draw up a plan for training on analytic assessment as well as training on marking for performance assess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