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72.68
3.137.172.68
close menu
KCI 등재
유비쿼터스 공간의 매체 철학적 함축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edia Philosophical Implication for Ubuquitous Space
조광제 ( Kwang Je Cho )
시대와 철학 18권 2호 49-80(32pages)
UCI I410-ECN-0102-2009-150-000283059

유비쿼터스 공간은 다음과 같은 특성적 기능을 갖는다. 1) 타성적인 물질적 사물들을 인간형태적으로 바꾸어 감각-운동적으로 활성화한다. 2) 유비쿼터스 공간은 전 포괄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감각-운동적으로 활성화 된 모든 사물들의 감각-운동적인 정보를 각각의 사물들이 공유해서 반응하도록 한다. 3) 전자공간의 전유물이라 여긴 ``저항과 마찰의 시공간적 거리=0``을 물질공간에 구현한다. 4) 전일적으로 네트워크화 된 인간 몸의 통일된 공간성을 몸 바깥의 현실에 구현한다. 요컨대, 유비쿼터스를 중심으로 보면, 몸 공간은 초유비쿼터스(super-ubiquitous) 공간이고, 몸 공간에 견주어 볼 때, 유비쿼터스 전자물질 공간은 준 몸의(pseudo-corporel) 공간이다. 이러한 특성적 기능을 띤 유비쿼터스 공간이 직접적으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바로 매체 영역이다. 유비쿼터스 기술 자체가 본래 매체적인 차원에서 생겨난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유비쿼터스 공간은 바로 인간 몸의 확장을 겨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 삶의 바탕인 몸은 모든 매체들이 매체로서 성립, 작동하는 기반으로서 그 자체 근본적인 매체다. 그리고 몸을 모든 의미의 생산, 유통, 소비에 있어서 주체라고 할 때, 그 주체는 바로 매체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공간이 인간 몸의 확장을 겨냥한다고 할때, 그것은 유비쿼터스 공간이 바로 매체 철학의 긴급한 탐구 대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기술이 가져오는 매체적 차원에서의 혁명은 사물들의 변화에 따른 효과를 향유하는 사람이 굳이 사물들의 변화에 개입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는 데 있다. 이는 마치 내 몸속에서 나도 모르게 이루어지는 엄청 복잡하고 미묘한 생리적 사건들의 효과를 내가 향유하는 것과 거의 유사하다. 이제까지 현실 세계가 지평적이고 네트워크적인 관계를 통해 존재한다는 것은 기실 의인법적인 은유를 투사한 데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 인간 중심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기술에 의거해서 몸 공간의 특이성을 바깥 물질 공간에 확장함으로써 지평적이고 네트워크적인 현실 세계를 구축한다는 것은 현실 세계가 인간 중심적인 의인법적인 은유의 투사를 벗어나 인간과 상관없이 그 자체 실질적으로(materially) 지평적이고 네트워크적인 상태로 변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Ubiquitous space has these characteristic functions: 1) It activates inert material things motor-sensory by changing them anthropomorphic. 2) It prompts things to communicate informations of things which are activated motor-sensory by overall networks and to response to one another. 3) It makes it possible that material space acquires "distance of space-time by resistence and friction=0" which has been thought as exclusive possession of electronic space. 4) It actualizes the whole networked unified space of human body outside human body. Ubiquitous space which has these characteristic functions affects a sphere of media the most immediately. For ubiquitous technology was originated in dimension of media originally. Human body is a ground of human life. Human body itself is the medium which is a ground of all media and makes them as media themselves. And human body is a subject of production, circulation, and consumption of all meanings. But this human body`s subjectivity is a medium. Therefore, if ubiquitous space has a role of extension of human body, it means that ubiquitous space becomes an emergent object of investigation in philosophy of media. The revolution of media by ubiquitous technology is consisted in making it useless for man to act change of things in order to enjoy effects through change of things. It is as if I could enjoy effects of most complicated physical events which might happen in my body without my knowing them. Until now, we have said our real world is by horizontal and networked relations. But in fact, because this our expression is a kind of anthropomorphic metaphor, it is anthropo-centric. However, by extension of singularity of corporeal space by ubiquitous technology, it becomes possible that we establish our horizontal and networked real world materially without projection of an anthropocentric anthropomorphic metaphor and relations to human being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