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7.23
3.15.7.23
close menu
KCI 등재
읽기 교육을 위한 연구 과제
Agenda for Research in Reading Education
김봉순 ( Bong Soon Kim )
국어교육 123권 1-29(29pages)
UCI I410-ECN-0102-2008-710-002578115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에 필요한 연구의 과제를 정리하는 학술대회의 주제로 기획되었다. 이에 읽기의 교육과 연구의 현황과 지향을 점검하고, 그 결과로 연구의 과제를 두 가지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하나는 현재의 독서교육을 지원하는 연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래의 독서교육을 준비할 수 있는 연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의 읽기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 과제는 두 가지로 파악된다. 하나는 더욱 적확한 독해 교육이 되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독자와 글, 맥락의 세 가지를 대상으로 독해의 원리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 또는 수단으로서의 ``전략``이 아니라 대상의 본질을 밝히는 ``원리``에 대한 탐구에 연구의 초점을 두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독해의 지도가 독서 활동과 연계될 수 있도록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글의 주제와 수준, 장르, 가치 등과, 독자의 독서 동기, 목적, 성향, 발달 특성 등, 그리고 독서 자료의 생산 유통 및 독서 상황 등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있어야 한다. 미래의 읽기 지도를 열어가기 위한 읽기 연구는 읽기 환경의 변화와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여야 한다. 읽기 환경은 읽기 자료의 다매체화, 읽기 주체의 생비자화, 읽기 소통의 대량화의 세 가지 특징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다매체화에 따른 영상, 음향 기호에 대한 연구, 주체의 생비자화에 따른 독해와 생산적 반응에 대한 연구, 그리고 독서의 대량화에 따른 독서 행위의 재범주화에 대한 연구 등이 있어야 한다. 읽기의 패러다임이 텍스트의 메시지를 신뢰하고 존중하던 경향에서 점차 텍스트의 메시지를 의심하고 회의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읽기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도 읽기 연구의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연구의 과제는 읽기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방법으로 탐구되어야 한다. 경험보다 과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읽기 교육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의 실천을 위해 연구 인력의 확보와 제반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This study is performed for an article in an academic seminar discussed about what are the reques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nowadays. Hereby, I surveyed teachings and researches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abstracted requests needed to research for the teaching reading in two directions. One is that it is needed to research to support the teaching reading in classrooms now, and the other is that it is needed to research to recognize and prepare the future teaching reading. For the ``here and now`` of the teaching reading, we have two research tasks ; how can we support the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thinking`` and how can we let students read books as possible as many and valuable. For the first one, we should study about topics concerned in texts(the structures, the functions, the expressions, and so on), readers(knowledges, skills, attitudes, reading processes, developments, and so on), and contexts(reading circumstances, social cultural backgrounds, and so on). For the second one, we need to develop several kinds of reading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we should search many informations about books(readabilities, themes, genres, and so on) and readers(motives, goals, inclinations, and so on), and research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circumstances and reading absorption. For the future of the teaching reading, we should know what are the trends of reading or literacy. I abstracted the trends to be three directions : texts are increasing to be composed of factors of multimedia, readers are becoming not only consumer but also producer of informations, reading acts are changing to social acts. So we need to research the influences of new trends to the reading and the teaching. And we should attend the change of reading paradigm. Nowadays, educators and cultural analysts all emphasize to read not affirmatively but critically, so the focus on reading is not in messages but ideas, and not in comprehensions but in creative thinkings. As a result, we still need to research this tasks with scientistic minds and methods instead of interpretational minds. Because we know just few principles of reading phenomenon, and most of education plans is based on not principles but experiences. I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interests of research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