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61.16
18.218.61.16
close menu
KCI 등재
새로운 화법 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
Agenda for Prove Fruitful Teaching and Research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이창덕 ( Chang Deok Lee )
국어교육 123권 53-91(39pages)
UCI I410-ECN-0102-2008-710-002578099

이 논문에서는 현재의 화법교육과 화법교육 연구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새로운 화법교육을 위한 화법교육 연구의 몇 가지 과제에 대해서 논했다. 지금까지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현장의 화법 교육은 학습자들이 삶의 현장에서 부딪히는 언어 갈등과 충돌 해결을 위한 문제해결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현재 국어 교육과 연구는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른바 애국애족 과목으로서 ``국어``가 당연히 학교 교육에서 중심 교과라 주장하기도 어렵고 수업 시간도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국어교육이 현재와 같은 정체와 무기력함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하려면, 국어교육 관점을 새롭게 하고, 현재 국어 교육 내적 문제점들을 철저히 점검하고, 해결 방책을 찾고 과제들을 정리하고 연구와 실천 영역 모두에서 한층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금까지 국어 화법교육 연구의 문제점으로, 화법 교육 철학의 빈곤, 기초 화법 연구의 부족, 체계 논리에 묶여있는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의 부족을 지적했다. 화법교육을 통하여 길어내고자 하는 궁극적 목적으로 바람직한 인간형이나 삶의 철학이 없이 지식 전달과 기능 훈련에 중점을 두는 도구적 교육관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화법을 제대로 가르치려면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화법 현상에 대한 기초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지고, 그 조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 내용이 결정되어야 하는데 국가 차원의 화법 실태 조사나 분석이 이루어진 적이 없고, 핵심적으로 가르쳐야 할 화법의 원리나 범주들이 정리되지 않아 화법 교육이 부실해질 수밖에 없음을 지적했다. 국가 차원의 교육과정의 지식, 기능, 태도 식의 체계 논리를 앞세운 접근이 화법 교육의 생명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임을 지적하고, 학습자들이 삶에 실제적으로 적용, 활용될 수 있는 화법 교육 내용과 방법, 교육 자료의 개발이 부족함을 문제점으로 들었다. 화법 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로, 새로운 화법 교육 철학의 확립, 귀납적 교육과정의 구성, 새로운 교수·학습론의 개발, 교사 교육 강화와 교육 자료 개발을 제시했다. 새로운 화법교육 철학으로 기존의 기능주의, 구조주의, 학문주의 교육철학의 한계를 벗어나 인본주의와 생명주의를 실천하는 화법교육 철학, 삶의 가치와 도(道)를 발견하고 실천하는 화법교육철학 정립을 강조했다. 지금의 연역적 체계와 구조를 강조한 교육과정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 교육과정을 귀납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학습자들의 화법 실태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한 삶의 문제 해결과 삶의 질적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방법과 내용, 교육 자료 개발을 촉구했다. 이런 모든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나 교육 관계자, 교육 연구자나 현장 교사 모두의 모국어 말하기 중요성에 대한 인식전환과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Quite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Korea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however, the prove fruitful teaching has not yet been operating in the every school classes.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there are a few critical problems to carry out effective practical educa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And also there are a few tasks to solve these problems. Four problems are pointed out to enhance present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1) Being lacking of philosophy of education. There is no symbolic character to be achieved after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2) The shortage of vigorous examination and researches on the phenomena reflecting conflicts and anguishes in human communication. 3) The sturdiness and limitation of the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Being adhesive to the logical structure of contents categories, the Curriculum lost the practical power to help student solve their problems in their daily oral communication. 4) Insufficient resources for prove fruitful teaching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Most of teachers are much distressed to get useful resource for their speaking and hearing classes. New agenda for practical speaking education is suggested in which four tasks are included to solve the upper four problems. At first, it has to be figured out that what is the philosophy and symbolic character of speaking education. Without its final symbol and character of humanity,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s to be degraded to the technical training of oral communication. Secondly, it is contended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has to be set with the result of examination and analysis on the students` daily oral communication. Thirdly, this paper insists to develop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eacher oriented teaching methods being used in schools are not useful nor effective for students to correct their oral communication mistakes. Finally, it is strongly suggested to devise and develop various teaching materials to be used in every school classes. It is stressed that the education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basically change their technological point of view o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the teachers teaching speaking and listening have to be retrained and supported with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