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14.94
3.138.114.94
close menu
KCI 등재
현대문학 교육의 방향
The Future Course of Modern-Literature Education
유성호 ( Sung Ho You )
국어교육 123권 163-182(20pages)
UCI I410-ECN-0102-2008-710-002578064

최근 우리는 구성주의와 수용 미학의 이념이 반영된 문학교육 방향을 경험하고 있다. 하지만 문학 현상에 대한 매우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실증적·역사적 지식의 축적을 강조하는 시각도 여전히 중요한 교육관으로 유통되고 있다. 특히 현대문학은, 그 자체로 역사이자 문학이라는 양면성을 가지는데, 문학을 역사적 산물로 인지하는 일과 현재적 매개로 활용하는 일을 균형 있게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자의 텍스트 이해와 수용은 학습자와 텍스트의 대화적 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래서 교사가 경험하고 이해하고 수용한 맥락이 유일한 정답이 될 수는 없다. 하지만 무리한 비약이나 추론에 의거한 주관적 오독은, 타당한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 수정되어야 한다. 모든 일급 텍스트는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풍요롭게 가지지만, 그 해석들이 모두 대등한 적정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낱낱 텍스트가 가지는 고유한 의미에 대한 적정성 있는 해석 능력은 더욱 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보편성과 항구성을 부여받은 문학 정전과 교육적 효율성에 의해 선택된 교육 정전 사이의 불일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처럼 교육적 가치와 문학적 가치가 일치되지 않는다는 데 정전 작업의 딜레마가 숨어 있다. 하지만 우리 교육 현장에서 현대문학의 구체적인 역사적 육체를 온전하게 경험케 하는 것은, 양도할 수 없는 교육적 지표이다. 지금까지의 문학교육은 문학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감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따라서 문학을 통해 삶의 의미를 깨닫고 재구성해가는 주체적인 학습자와는 거리가 멀다는 반성적 인식을 낳았다. 그래서 자기 표현으로서의 ``창작`` 개념과 적극적인 감상으로서의 ``비평``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이 두 가지 글쓰기 방식은, 문학교육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를 포괄하고 있다. 결국 현대문학교육은 이러한 제반 의제들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감안하여 더욱 깊이 성찰되어야 한다. 범주, 태도, 정전, 창작, 비평 등 하나하나 세세한 논의가 따라야 할 중요 사안이 아닐 수 없다. 이 모든 것이 ``축적의 원리``를 구심으로 하여 재조정됨으로써, 문학 현상에 대한 명료하고도 풍부한 인지와 다양한 활용의 양 국면을 균형 있게 구성해가야 할 것이다.

Recently, we have been experiencing the current of Constructivism and Reception Aesthetics reflected in literatur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view of centered-knowledge is still regarded as the important view of literary teaching. In the point of view, but, the reservoir of positive and historical knowledge is emphasized, and the knowledge is concrete and realistic. Modern literature has the ambilaterality, that is history and literature as itself, so the pursuit of well-balanced is important between the cognition of literature as historical products and the use of literature as interface of the present time. Learner`s understanding and reception of text gets accomplished by dialogic communication with the text. So the context which a teacher has experienced and received on the text cannot be the only answer. But learner`s subjective misreading on the ground of an unreasonable jump in the logic must be corrected with priority given to reasonable interpretations. Though every first class works has the abundant possibility of many-sided interpretation, no every interpretation would be reasonable. Therefore the ability to interpret reasonably the meaning of each text must be more disciplined. There is discrepancy between the canonized works entitled to universality and permanency and the pedagogical works selected by pedagogical effectiveness, such are the dilemma of dealing with the canonized book, caus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value of education and the value of literature. But the experiencing of the historical flesh and blood as specifically found in modern literature is educational indicator that cannot be handed over. By this time, literature education have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literary texts. But this used to produce the criticism that it is nowhere the independent learner who realizes and is reconstructing the meaning. So the ``creation`` concept as self expression and the ``criticism`` as active appreciation is emphasized. This both way of writing include the ultimate end of literature education. In conclusion, we have to consider more carefully the modern-literature education, while making allowances for the generality and the particularity of every discussions as above-mentioned. The following each and all is important item that need a detailed discussion: category, attitude, canonized work, creation, criticism, etc. As readjusting this on the centered ``the principle of reservoir``, we should be constructing two phases of the clear and abundant cognition, and the various use over a literary phenomen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