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51.241
3.22.51.241
close menu
KCI 등재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 (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A Study on Building a Frame for Test Of Reading Literacy
서혁 ( Hyuk Suh ) , 서수현 ( Soo Hyun Seo )
국어교육 123권 213-242(30pages)
UCI I410-ECN-0102-2008-710-002578044

읽기 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함에 있어서는 우선적으로 이를 거시적 안목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사전 독서경험(선(先)독서 개념), 범교 과적 읽기 능력, 평생 독서의 개념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독서, 독해, 해독 등의 용어가 간과한 측면 모두를 포괄하여 ``읽기``라는 용어로 접근함이 타당하다. 이는 앞 장에서 언급했던 ``읽기 문식성(reading literacy)``의 개념과 상당히 유사하다. 기존의 언어 능력이나 읽기 능력 평가에서는 서로 다른 ``내용 영역``들을 대체로 ``사실적 이해, 추리·상상적 이해, 비판적 이해, 논리적 이해``와 같은 다소 모호한 ``행동 영역`` 요소들을 거의 일관된 구인으로 활용해 왔다는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는 ``텍스트, 독자, 의미구성(사고 과정), 맥락``으로 이루어지는 읽기의 특성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의 PISA, NAEP, NAER, PIRLS 등의 읽기 평가 틀을 참조하여, 새로운 읽기 능력의 구인을 ``텍스트 중심, 독자+텍스트 중심, 독자 중심``의 세 범주를 중심으로 하고, 그 하위의 구인으로 각각 ``세부 내용 확인, 대의파악``,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비명시적 내용 도출, 텍스트의 특성(구조, 갈래, 내용)에 의거한 종합적 평가``, ``배경지식을 적용한 텍스트에 대한 반응, 텍스트와 배경지식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의 6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읽기 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읽기) 평가틀(framework)은 평가의 목적과 대상, 주체, 상황에 따라 검사 용도에 따라서는 상이한 양상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읽기(독해력) 평가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평가틀의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특정 학교급이나 학년에 따라서 특정의 단계나 항목들이 강조되는 등 취사선택을 통한 재구조화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읽기 능력 검사의 구성 요인은 향후 실제 적용, 분석, 검증을 통해 새로운 읽기 평가 틀 마련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읽기 능력 검사에서 피험자가 읽을 읽기자료는 정보적 텍스트(설명, 설득적 텍스트), 문학적 텍스트를 비롯하여, 도식, 도표, 그래프 등 다양한 텍스트 자료와 매체들을 충분히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 연구는 후속 과제로 미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basic frame focused on cognitive process for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in Korea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term ``reading`` indicate reading literacy which implies both reading comprehension and decoding. So far, the basic frame in assessments of Korean Education includes ``literal, reasonal and imaginary, critical, logical comprehension. This classification has some problems because it is not clear between the content areas and behavior areas. In particular it does not co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literacy which consists of text, reader, reconstruction(cognitive process) and context in reading.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frame which is categorized as ``text-based, text and reader based and read-based including ``specific idea, general idea``, ``finding out implicit idea based on text, general evalu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ext(structure, genre and contents)``, ``response on a text and creative expression using schema`` respectively. We analyzed the frames of PISA, NAEP, NAER and PIRLS in this study. This frame will be tested in real assessment tools in near future, and which will get a clearer system. The assessment tools suppose to include various continuous and non-continuous texts such as expository texts, literary texts, graph, diagram and figure, etc.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