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2.179
18.117.182.179
close menu
KCI 후보
중국의 맹목적 근대주의에 대한 조선족 지식인의 비판적 성찰 -중국 조선족 작가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의 문제성-
The Critical Retrospection of a Josen Race Intellectual on the Blind Modernism of China -the problematic awareness of by a Chinese Josen race writer Kim Hakcheol(김학철)-
고명철 ( Myeong Cheol Ko )
한민족문화연구 22권 129-154(26pages)
UCI I410-ECN-0102-2008-910-002493860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는 1965년에 탈고된 것으로, 중국의 그 당시 정황 속에서는 도저히 쓸 수 없는, 아니 써서는 안 되는 작품이다. 홍위병에게 원고가 발각되어 10년 동안(1966∼1976) 혹독한 정치적 숙청을 당했다는 데서 확연히 알 수 있듯이, <20세기의 신화>는 모택동을 중심으로 한 중국 공산당의 근대화 운동에 대한 전면 비판이란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비록 이 작품이 그 당시 출간되지는 못했으나 모택동(과 스탈린, 김일성)의 개인 숭배와 계급 투쟁의 급진성이 낳은 오류를 과감히 비판하고 있는바, 이것은 중국문학사뿐만 아니라 중국조선족문학사, 그리고 한국문학사에서도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는 문제작 중의 문제작이다. 이 소설은 중국 조선족 지식인이 중국 근대화의 한 복판에서 혹독히 경험한 역사의 광기를 기록해낸 역사 보고서이면서 동시에 중국 근대화의 맹점을 신랄히 비판한 문제적 소설이다. 김학철의 굽히지 않는 작가적 양심과 윤리를 뚜렷이 드러낸 수작(秀作)이다. 중국의 어느 문인도 반우파투쟁(反右派鬪爭)과 대약진 운동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정면으로 내지 못했음을 고려해보건대, 이 작품은 어떠한 형태의 모순과 불의에도 물러설 수 없다는 김학철의 견결한 산문정신을 보여준다. 김학철의 이와 같은 작가 정신은 일국 중심의 근대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온갖 근대의 구조악(構造惡)과 행태악(行態惡)에 대한 부정과 경계, 그리고 저항에 기반하고 있음을 결코 간과할 수 없다. 무엇보다 인민(혹은 민중)의 행복을 앗아가는 그 어떠한 근대적 제도도 용납해서 안 된다는 그의 사회주의적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과 열정을 가볍게 치부할 수 없다. 여기서 각별히 환기하고 싶은 문제는, 이러한 작품을 쓴 작가 김학철은 한족(漢族)이 아니라 조선족이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작가 김학철의 문학을 논의할 때는 이 점을 가볍게 취급할 수 없다. 김학철의 문학은 중국문학이자, 중국조선족문학이면서 동시에 한국문학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물론, 김학철의 국적이 중국 국적이기 때문에 그의 문학을 중국(조선족)문학으로 보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하지만 김학철의 문학은 우리 겨레의 언어, 즉 모국어(母國語)로써 조선족의 사상과 감정을 형상화하고 있어 한국문학의 범주로 포괄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김학철의 문학과 같은 성격의 문학을 어느 특정한 개별 국민문학의 영토 안에 가둬놓을 게 아니라 서로 다른 개별 국민문학의 영토를 횡단하는 이른바 ``노마드적 주체``로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지금까지 검토해보지 못한 사안들에 대한 창발적인 문제의식을 갖는 것이다. 그것은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를 중국(조선족)문학과 한국문학을 포괄한 동아시아 문학의 새로운 문제틀(the problematics)로 읽는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The Myth of the 20th century(20세기의 신화)> by Kim Hakcheol (김학철) was written in 1965. However it could not be written in those days of China and should not be written. Showing that a manuscript was discovered by The Red Guards and he was experienced harsh political cleanup for ten years(1966-1976), was noticeable in the complete criticism about the modernization movement of Chinese communist focusing Mao Zedong. Although it was not published at those times, the error resulted from personal worship of Mao Zedong(and Stalin, Kim Ilseong) and radicalism of class struggle was resolutely criticized and it was a problem novel among problem novels that could never underestimate not only in the Chinese literary history but also in the literary history of a Chinese Joseon race and Korean literary history. This novel was a historical report recording historical madness which was completely experienced by a Chinese Joseon race intellectual in the center of Chinese modernization. Also it was a problematic novel that severely criticized the blind point of Chinese modernization. It was an excellent work showing his unyielding conscience and ethics for writing. Considering that any literary man in China could not publicly express their own critical voice on the anti-rightist struggle and the Great Leap Forward, this work showed his strong prose mind that he could not take a step back in any kinds of contradiction and injustice. We should not neglect his mind for writing, which was based on the structure badness of various modern times in the process of pursuing modernization by a nation and based on the injustice and guard toward behavior badness and also based on the resistance. Most of all, his passion and belief on the socialistic democracy, which was any modern system depriving the happiness of people should not be approved, should not think insignificantly. The thing that particularly emphasizes here is that the writer Kim Hakcheol (김학철) is not a Chinese race but a Joseon race. Therefore in discussing his literature, we can not treat lightly this point. We should keep in mind that his literature is not only Chinese literature but also Chinese Joseon race literature at the same time Korean literature. As his nationality is a Chinese, his literature obviously regards as Chinese literature. However, as his literature was written in our language, that is it shaped thinking and feeling of Joseon race with a native tongue, it can be included the category of Korean literatur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not locking these kinds of his literature in a territory of any particular individual national literature but recognizing newly a so-called ``nomadic subject`` which crosses a territory of different individual national literature. And we can get creative problem mind on the problems which have not been examined until now. It is significant that his is regarded as the new problematics of East Asia including Chinese(Josen rac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