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1.79.135
3.81.79.135
close menu
KCI 후보
"동화(同化) 이데올로기" -그 이상과 현실의 변주
"Ideology of Assimilation" its Ideals and the Variation of the Reality
김수영 ( Sue Young Kim )
한민족문화연구 22권 155-180(26pages)
UCI I410-ECN-0102-2008-910-002493764

대동아공영을 기치로 내걸며 신체제를 선포한 일제는 앞으로 전개될 장기전을 염두에 두고 식민지내 반발을 무마하여 효율적으로 식민지를 지배하기 위해 병합초기부터 시행해온 동화정책을 일층 강화해나갔다. 특히 "일선동조론"에 근거한 역사적 ``혈연관계``를 강조하며 내선일체"를 전면에 내세웠는데, 이는 민족정신 말살을 통한 정체성 파괴와 인적·물적 동원을 목적으로 한 기만술책에 불과한 것이었다. 이 결과 일제의 동화정책은 ``일체``를 실현하는 것으로 피식민지인의 현실을 극복하고자 했던 조선인의 의식과 현실에 균열을 초래함과 동시에, 지배자로서의 일본인의 의식을 더욱 고착화시키는 모순을 심화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김사량은 「천마」에서 일제의 지배담론을 내면화하고 있는 일본인과 조선인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차이와 동일화 사이에서 뒤틀려가는 양자의 모습을 통해 동화정책의 이중성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즉 신민(臣民)이 되길 요구하면서도 끝내 신민(臣民)으로의 진입을 불가하는 동화정책의 이중성이 인종적, 민족적 차별인식과 주종관계를 심화시켜 서로에 대한 배타성을 증폭시키는 모순을 반복생산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동화이데올로기에 내재된 적대적 폭력성을 환기한 것이다. 이효석의 「엉겅퀴의 장」과 한설야의 「그림자」는 내선일체의 한 전략으로 실시된 "내선연애·결혼" 문제를 서사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내선결혼은 일선동조론을 근거로 한 피의 논리를 현실 속에서 구체화시키려는 의도가 함의된 정책으로, 단일민족 설이나 순혈론을 주장하는 일본내부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시행된 정책이었다. 두 작품 모두 남녀의 교제가 이별에 이르는 것으로 결론을 맺으면서 내면이 이어지지 않는 ``일체``가 허상에 불과한 것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동일한 이별일지라도 각각 의 소설에서 그 과정을 묘사하는 데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효석의 「엉겅퀴의 장」에서는 결별의 주요원인으로 경제적, 문화적 차이를 부각시키면서도 무엇보다 제국일본의 순혈이데올로기에 버금가는 식민지 조선인의 피에 대한 집착이 그 근본원인이 되고 있음을 서사화하고 있었으며, 한설야의 「그림자」에는 시종 두 남녀의 연애와 이별이 식민정책담론 외부에서 이루어진 과정임을 보여주면서 ``피``로 표상되는 일제 식민지내셔널리즘의 범주를 초월한 인간 화합의 가능성과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본 제국주의의 이상실현을 목적으로 피식민지 조선인들을 포섭하고자 시행된 동화정책의 기만과 허위, 그리고 ``피의 동질성``에 근거한 동화이데올로기에서 변주된 현실적 모순들을 통해, 진정한 인간의 화합은 적대적·배타적인 협소한 내셔널리즘의 범주를 초월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임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Japanese empire that declared new order with ``Great East Asia Prosperity`` as the slogan, more reinforced the policy of assimilation had operated since it annexed Joseon to effectively rule the colony, soothing the resistance with the consideration for a protracted war in the foreseeable future. Especially, it advocated the slogan, ``Japan and Joseon are one entity``, stressing historical ``blood ties`` based on the theory of oneness of Japan and Joseon. This was only a deceptive policy containing the goal to mobilize manpower and materials, and to demolish Joseon`s identity through erasing the national spirit. Consequently, the policy of assimilation brought rapture in the reality and the consciousness of people of Joseon, who wanted to overcome their reality as colonials, realizing ``oneness``. At the same time, it so hardened Japanese spirit as rulers that it deepened contradiction. Accordingly, Kim, Sa-ryang embodied a Japanese and Korean who internalized the governing discourse of Japanese empire in 「Cheonma」, which bitterly criticized the duality of the policy, describing their perversion. 「Eonggeongkwiui Jang」by Lee, Hyo-seok and 「Geurimja」by Han, Seol-ya described the issue of ``love and marriage between Japan and Joseon``, which was deliberately conducted as one of the tactics for the slogan, ``Japan and Joseon are one entity``. As both novels ended with the lovers` parting to claim that ``oneness`` without the connection of the inside was just illusion. However, they showed differences in describing the process of the parting, despite of the same ending. For example, in 「Eonggeongkwiui Jang」by Lee, Hyo-seok, the lovers left each other because the people of Joseon obsessed with their blood, which rivaled Japanese pure-blood nationalism based on the finan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ople. Meanwhile, the lovers` parting only reveale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people in 「Geurimja」by Han, Seol-ya, which was apart from the discourse of colonial policy. In conclusion, through realistic contradiction which was variated from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based on ``the sameness of the blood``, it is reconfirmed that people can be sincerely harmonized when they transcended hostile and exclusive narrow national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