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51.3
3.16.51.3
close menu
KCI 등재
유교적 근대성과 근대적 정체성 -한국적 "혼종 근대성"의 도덕적 지평에 대한 비판적 탐구-
Confucian modernity and modern identity -A critical study of the moral horizon of the korean "hybrid modernity"-
장은주 ( Eun Joo Chang )
시대와 철학 18권 3호 383-420(38pages)
UCI I410-ECN-0102-2009-150-000281131

이 논문은 그 동안 우리 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근대성 논의들이 서구중심주의에 빠져 우리 근대성의 고유한 성격을 제대로 조망하고 있지 못하다는 데서 출발하여 우리의 근대성에서 유교적 문화 전통이 차지하는 역할과 의미를 밝힘으로써 그 고유성과 규범적-실천적 함의를 포착해 보고자 하는 이론적 시도다. 이 논문은 우리의 독특하고 고유한 근대성을 유교 전통과 서구적 근대성의 복잡한 착종과 접합의 결과로 생겨난 일종의 ``혼종 근대성``으로,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하나의 ``유교적 근대성``(그러나 이는 ``유교자본주의론``이나 ``유교민주주의론`` 등의 논의에서와는 달리 하나의 규범적 개념이 아니라 기술(記述)적 개념이다)으로 파악하자고 제안한다. 이러한 유교적 근대성의 고유성은 무엇보다도 그것이 서양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개인과 사회를 매개했던 유교적 문화 전통의 일정한 지속 위에서 발전한 ``개인주의없는 근대성``이라는 데서 드러난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 유교는 일반적 통념과는 달리, 적어도 그 근대적 형식에서는, 충분할 정도로 자본주의적 근대성과 친화적일 수 있다. 여기서는 찰스 테일러가 말하는 ``근대적 정체성``의 유교적 버전이 지닌 현세적 인간관계 속에서의 성공적인 인정획득의 추구라는 도덕적 지평이 관건이다. 이런 논의를 통해 이 논문은 결론적으로 서구중 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시도가 조야한 동서이분법의 수준을 넘어서 ``우리 안의 옥시덴트`` 같은 것에도 충분히 민감할 수 있는 새로운 규범적 지평 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주장한다.

It seems that discourses of modernity made in the previous Korean literature fail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modernity developed in Korea. This paper attempt to clarify these properties and its normative-practic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Confucianism and its significanc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our society. I propose to view the authentic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developed in our society as a kind of ``hybrid modernity`` produced by complex entanglement of Confucian tradition and western modernity, and in this sense, as a ``confucian modernity``(but as a descriptive concept, not as a normative one as argued in the studies of ``confucian capitalism`` and ``confucian democracy``). The authentic characteristics of this confucian modernity is found in the fact that it is ``a modernity without individualism`` which has developed in the basis of long-standing confucian tradition which mediated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in a way so different in the western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confucianism at least in its modern form, unlike its commonly-held view, can have a deep affinity with the capitalistic modernity. The central key to understand this fact is the moral horizon in the pursuit of recognition in the this-worldly human interrelationships which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confucian version of the ``modern identity`` in the sense of Charles Taylor. Through such discus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attempts to overcome the euro-centrism must be based on the new normative horizon which is sensitive enough, for example, to ``the occident in the orient`` beyond the crude dichotomy of east and wes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