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255.127
3.146.255.127
close menu
KCI 등재
시각 중심적 건축의 한계와 불투명성으로서의 공간
A Critique of Ocularcentric Architecture and the Opacity of the Space
박영욱 ( Young Wook Park )
시대와 철학 18권 4호 37-69(33pages)
UCI I410-ECN-0102-2009-150-009156453

근대건축은 근대적 공간 체계를 전제한다. 그러한 근대적 공간 체계는 공간이란 외부의 사물들에 대해서 독립적이고 항상 균등하고 불변적이라는 뉴턴의 절대공간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한 공간은 일상적인 체험이나 다른 감각들이 배제된 시각중심적인 기하학적 공간이다. 근대건축은 객관화할 수 없는 촉각, 후각, 청각적 요소를 가능한 배제하고 시각적인 공간만을 절대화시킴으로써 공간의 투명성을 확보한다. 루이스 설리번의 ``기능이 형태에 앞선다``는 기능주의 원칙은 시각중심적 건축의 가장 극적인 표명이며, 미스반데어로에의 보편공간이나 꼬르뷔지에의 모듈러도 이러한 공간의 패러다임을 개별건축에서 실현하려는 시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공간론은 공간을 사회학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가능성을 차단한다는 것이다. 어떠한 역사적 한계나 특수성도 벗어난 보편적인 건물을 지향하였던 미스의 시그램 빌딩이 50년도 채 지나지 않아서 오히려 낡은 퇴물로 보이는 아이러니는 바로 근대 건축의 역설을 그대로 반영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핀란드의 건축가이자 건축 이론가인 유하니 팔라스마는 "오늘날 우리시대 건축과 도시의 비인간적 특성은 감각과 몸에 대한 무시, 그리고 우리 감각 체계의 불균형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근대의 시각 중심적 예술이나 건축은 인간의 사유나 시각을 자극하지만 세계에 뿌리박고 있다는 근원성을 창출하지 못했다. 과거의 기억과 미래에 대한 기대의 중첩으로서 현재적 존재라는 인간의 삶은 파괴된다. 소재의 면에서 볼 때도 돌, 벽돌, 나무와 같은 자연적인 재료들은 시간적 경과와 더불어 그 흔적이 미를 더한다. 하지만 유리나 도료 덮인 금속, 합성수지 등의 인공재료들은 연륜과 상치되며 과거의 흔적을 제거함으로써 더욱 빛난다. 하이데거는 "건축하기, 거주하기, 사유하기"에서 건축이란 거주와 동일하며 거주란 단지 어떤 건물 안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공간에서 시간적인 경과와 더불어 편안함을 느끼는 상태라고 주장한다. 이때 하나의 공간은 그저 보편적인 공간이 아닌 특정한 공간, 즉 장소가 되며 나의 신체와 교감하는 공간이 된다. 건축은 바로 그러한 장소를 만드는 것이며, 이 점에서 지금껏 드러나지 않았던 특정한 공간의 장소성을 드러내는 테크네인 것이다. 캐스턴 해리스는 건축에서 하이데거의 테크네를 물성과 관련 짓는다. 그는 건축은 특성상 어떤 사물을 단순히 재현(representation)할 수 없으며, 건축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를 그때마다의 재료를 통해서 재-현(re-presentation)할 뿐이라고 말한다. 이 재-현의 과정은 지금까지 은폐 되었던 재료의 물성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알바 알토나 헤르조그와 드 뮈론이 물성을 강조함으로써 근대적 시각주의를 넘어선 대표적인 건축가로 평가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물성에 대한 강조는 공간에 대한 근본적으로 새로운 시각과 맞물려있다. 공간은 시각적인 경험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감각의 대상으로서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의 불투명성은 힐데브란트나 로잘린드크라우스와 같은 미술이론가들이 지적하였듯이 현대 조각에서 물성의 강조로 나타난다. 그것은 대상의 전체적인 윤곽을 파괴하고 근접적인 시야를 유도함으로써 대상을 촉지적으로 느끼도록 유발하는 것이다. 모더니즘 건축이 사실상 가장 불투명한 소재인 콘크리트를 사용하면서도 가장 투명한 건축이 된 이유는 건물의 구조를 기능적으로 최적화하는 것에 집중함으로써 공간 자체가 기하학적으로 완전히 점유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장식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투명한 공간을 구축하려는 미스의 "더 적은 것이 많은 것이다"(Less is more)라는 격률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등장 이후 공간의 불투명성을 강조하는 것은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다. 오히려 공간의 불투명성은 하나의 패러다임이 되었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이후의 건축이 근대적 투명성을 지양하는 하나의 성공적인 건축적 패러다임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다. 가령 건축 이론가 비들러는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건축을 투명성도 불투명성도 아닌 그 중간의 상태인 반투명성(translucency)으로 규정한다. 비들러에게 반투명성이란 ``익숙한 낯설음``(uncanny)의 현대적 표현이다. 그가 보기에 렘 콜하스의 프랑스 국립 도서관 계획안에 나타나듯이 실재로 반투명한 유리 건물은 이러한 반투명성을 잘 나타낸다. 반투명한 유리는 내부의 공간을 애매하게 보여줌과 동시에 그것을 바라보려는 외부 관찰자의 시선, 즉 그것을 보려 하는 우리 자신의 응시를 중첩시킨다. 그럼으로써 익숙하지만 어딘가는 낯선 우리들 자신의 기괴한 모습, 즉 언캐니(uncanny)한 모습을 보여

The modern architecture presupposes the modern system of space. The modern system of the space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Newtonian theory of the absolute space, according to which all the spaces are independent of all the things and homogeneous. That kind of space is ocularcentric geometric space freed from the ordinary experiences and other senses except vision. The modern architecture pursues the spatial transparency by making the visual sense absolute and isolated from other senses such as tactile sense, olfactory sense which can not be measured objectively. Louis sullivan`s motto "Form follows function" is the most dramatic expression of the ocularcentric architecture, and Le Corbusier`s ``modulor`` or Mies`s ``universal space`` implies the efforts to realize the modern architectural ideal into the individual buildings. But the modern view of space leaves some serious problems in that it blocks the possibility to approach the space sociologically. The irony that Mies`s Seagram building once regarded as an architectural symbol of modern ideal to go beyond the historical limits and absolutely universal looks very outdated now reflects the paradox of modern architecture. It is in this context that finnish architect Juhani Pallasmaa said "The inhumanit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cities can be understood as the consequence of the negligence of the body and the senses, and an imbalance in our sensory system." The ocularcentric architecture and art stimulates human thinking and vision but doesn`t make people feel like that they are rooted in their environments. It destroys real human existence living in the present mixed with memories of the past and anticipations of the future. As for the material, the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stones, bricks, and trees get the additional beauty as time passes. But the artificial materials such as glasses, enamelled metals and synthetic plastics show off their brilliant surfaces by removing the trace of age. In an essay named ``building, dwelling, thinking``, Heidegger said that building is essentially dwelling, and dwelling is not just being physically in a building but being comfortable with the traces of past memory and time. The space is not the universal space. It becomes a specific place communicated with my body and experience. Building is not constructing space but making places. In that respect it is ``thekne`` in its ancient greek meaning, which means making visible what was hidden. Karsten Harries relates ``thekne`` with materiality in the architecture. He thinks that architecture in its essence ``can not represent`` nature or things but only each architecture ``re-present`` the primordial model of the building, ie primitive hut, respectively with its proper materials. In this process ``re-presentation`` comes out the materiality that was hidden until now. Architects such as Alva Aalto, and Herzog & de Muron ar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s who emphasize the materaility in the architecture. The emphasis on the materiality is engaged with the new perspective of the space. Space is not just seen by eyes but also perceived by other sense organs. Space is opaque. As art theorists such as Hildebrandt and Rosalind Krauss pointed out, the emphasis on the materiality in the contemporary sculpture is related with the idea that space is opaque. The contemporary sculpture focusced on the materiality leads the spectators to move their eyes very close to it and feel the tactile surfaces. The reason that the modern architecture becomes the most transparent architecture in spite of the use of the most opaque material, ie concrete, lies in the fact that it optimizes the spatial structure functionally according to the geometric systems. It is reflected in Mies`s famous statement "Less is more". The emphasis on the materiality is engaged with the new perspective of the space. Space is not just seen by eyes but also perceived by other sense organs. Space is opaque. As art theorists suc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