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4.35
3.149.254.35
close menu
KCI 등재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현대시 교육 연구
Teaching Poetry through Intertextuality in the Classroom
정재찬 ( Jae Chan Jeong )
국어교육학연구 29권 255-281(27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8458216

현대시 교실은 여전히 작품의 섭렵과 주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로 인해 학생들의 텍스트 능력, 특히 상호 텍스트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에는 실패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실체 중심과 속성 중심, 그리고 활동 중심을 아우르는 관점에서 텍스트를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감상하며 나아가 문학 및 문화 텍스트와의 상호 텍스트성을 강조하는 교육용 시 텍스트 해설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 투입되어 실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수학적 변환을 포함하여 다양한 흥미로운 해설을 덧붙였다. 본고는 김광규의 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이호철의 소설 <탈향>, 그리고 송수권의 시 <면민회의 날>을 각각, 또 상호 교직하여 읽어 냄으로써 작품의 새로운 의미와 더불어 작품 간의 놀랄 만한 관계를 도출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특히 작가들의 문학적 지향이 서로 다르고 문학사적으로도 서로 별 연관이 없어 보이는 텍스트들이 문학교육적으로는 매우 유의미한 연관 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궁극적으로 문학교육의 독자적 관점에서 문학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려는 노력으로 이해되길 바란다. 본고는 섭렵과 주해 일변도로만 이루어지는 우리 문학교육의 전통적인 모습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이해되어도 좋다. 교육과정이나 교재, 수업 구성의 체계와 방식이 반드시 시대별 장르별 혹은 주제별로 텍스트를 나열하고 그 각각을 섭렵하는 길만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위의 세 텍스트가 하나의 수업 단원을 구성하는 교육과정과 교재를 생각해 보면 된다. 그러한 체제와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능력이 기존의 체제보다 더 가치 있고 생산적임이 증명되길 기대한다.

Our literature education still sticks to the system so called "coverage and exegesis" of literary canons. Beneath this system there lies a belief and a premise that reading every great text with analysis would let our students to develop reading skills and to enhance their textual power. However most of students are complaining that reading poetry is too difficult and even they could not understand another poem of the same poet` that was already taught. It shows that the system cannot work as well as we expected and fails in giving them textual and inter-textual power.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n educational expository essay which has a wide and profound appreciation about text with a synthetic view point including substance-based, property-based and activity-based approaches. Eventually it emphasized intertextuality not only among literary texts but also among cultural texts. I analyzed three literary texts, by Kim Kwang-gyu(김광규), by Lee Ho-cheol(이호철), and by Song Su-kwon(송수권), reading each by each and all together. Then I found there is a very interesting and remarkable relationship among them. Even though those authors have different orientations and seem not to have any influential relation to each other, the three texts show us as if they are a set of series. The first and the second shows common concern on ``song`` and ``story`` that means not only the ``lyric`` and the ``narrative`` but also the romanticism and the realism. And if the first and the second are mixed together, the third would be made like a chemical change. Even though I used my literary knowledge to read the texts, my discovery such as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irrelevant texts owes to the viewpoint of the study of literary education. It proves that the pedagogical approach to literature can produce the pedagogical contents independently from the literary studies. There could not be the only one way to teach poetry like coverage and exegesis. Therefore, this study might be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ystem of our literature education. Teaching poetry through intertextuality will help our students understand not only the relationship among texts but also each 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