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221.204
3.146.221.204
close menu
KCI 등재
세계화와 국어교육 ; 한국어교육과 국어교육의 관계 설정 -상호 발전과 세계화를 위한 과제-
The Relations and Tasks of KLE and KSL in the Global and Multi-cultural Society
서혁 ( Hyuk Suh )
국어교육학연구 30권 51-86(36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8455593

한국어교육은 기존에 국어학과 국어교육의 하위 학문 분야로 설정되었다가, 2002년에 교육부의 학문분류체계에서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되고, 2004년도부터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분류에서도 독립 영역으로 설정되고 있다. 국어교육의 목표가 창의적 국어사용(활동) 능력, 국어적 사고력, 문화 창조로 요약되는 반면에 (외)한국어교육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과 기본적인 문화 이해에 초점이 놓인다. 이는 학습 대상자의 목표 언어에 대한 능력, 문화적 지식과 경험의 차이에 기인한다. 2007년에 개정된 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창의성(Creativity), 문화 이해(Cultural Understanding), 비판적 이해(Critical Understanding)``의 4C를 기본 목표로 하고 있다. 반면에 미국의 외국어 교육 기준에서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문화(Culture), 교과 연계(Connection), 비교(Comparison), 다문화 사회 참여(Communities)``의 5C를 강조하고 있다. 자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과 문화를 넘어서서 ``창의성, 비판적 이해``와 같이 사고력 부분을 훨씬 더 강조하고 있다. 기존에 한국어교육의 성격을 논의한 관점들이 대체로 국어학 중심의 제한된 접근을 보여 주고 있다. 앞으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은 모두 한국학이라는 광의의 범주에 속한다는 점, 다문화적 접근과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고려, 문화 콘텐츠의 적극적 개발과 활용, 교원의 양성 등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 공조와 협력이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접근과 관련하여 다문화의 개념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해석하거나 동화에 초점을 둔 열등주의 패러다임에 따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교육 정책, 연구, 현장 실천 차원에서 모두 반성이 요구된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hereafter KLF) has been classifi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ary field from 2002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om 2004 by Korean Research Foundation. KLF was considered as a sub-field of Korean education or Korean linguistics before 2002.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hereafter KLE) are to develop abilities of creative communication, thinking skills and creating culture, while KLF focuses on the fluent communication and cultural understanding. We can see the similar characteristics comparing English National Curriculums, which is for native speakers, to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USA. Key Stage 3 and 4 of National Curriculum 2007 which was announced by QCA, DCSF(Department of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of England stress 4 key concepts, i.e. Communication, Creativity, Cultural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while the Standard for FLL of USA emphasizes 5Cs, i.e. Communication, Cultures, Connections, Comparisons, Communities. KLE and KFL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characteristics.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re-conceptualizing multi- cultural education,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training teachers regarding both KLE and KSL with cooper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