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87.103
3.144.187.103
close menu
KCI 등재
소설교육의 실천적 지표에 대한 반성적 고찰 -이론과 교육과정의 매개 양상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ractical Indicator of Novel Education -Focused on the Mediation between Theory and Curriculum-
김근호 ( Keun Ho Kim )
국어교육학연구 30권 111-141(31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8453226

이 연구는 소설교육의 이론이 실천으로 매개되는 지점을 교육과정으로 보아 이를 반성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소설교육에 관한 이론의 흐름과 쟁점을 살펴보면, 소설교육은 소설을 포함한 문학을 고귀한 인문적 성취로 보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문학의 뛰어난 가치는 자명한 것이고, 이에 따라 교육의 가치는 선험적·경험적으로 선결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다가 문학을 특별한 전문가 집단의 전유물로 보는 편협한 시각을 탈피하여 문학의 일상 언어화라는 논리로 확장되었다. 서사 표현 교육, 소설 창착 교육 등의 문화 생산론적 담론이 소설교육의 핵심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표현론의 가치가 문학교육을 견인하는 중심축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문제는 교육이론의 실천적 지표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의도된 교육과정, 즉 공식 문서로서의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국어과 교육과정 속의 소설교육을 살피는 작업은 이론과 실천을 일종의 ``해석학적 순환``의 관계로 보는 일이다. 교육에서 이론은 실천을 통해 파악되고, 실천은 이론을 통해 조회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소설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비판할 수 있다. 우선 국어교육에서 소설교육은 점차 현상적으로 ``유폐화``의 길을 갔다는 점이다. 이는 국어교육에서 이른바 ``기능론``의 전횡으로 인해 진행된 문학교육의 유폐화와도 맞물려 있다. 다음으로 문학적 고유성이 언어교육이라는 명목 하에 희박해지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다. 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은 언어교육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장르 고유의 특징이 탈색된 언어교육은 자칫 활동만 남고 그 본질은 상실될 위험이 있다. 다음으로는, 앞의 비판과 관련하여, 탈장르론의 교육적 맥락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생기는 교육적 위계화의 문제이다. 교육 내용의 위계화 차원에서 볼 때 소설교육은 구체에서 추상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그 논리가 장르의 통합 혹은 해체적 재구성으로 포장되어 있다. 문제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이 같은 일반론적 수준의 선언이 자칫 문학교육의 연역화를 초래하여 다양한 문학 활동의 맥락과 주체의 작용을 고려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자 하는 바는 교육과정에 반영된 수용과 생산의 이분법이다. 앞으로 소설교육을 포함한 문학교육은 이러한 상투적 이분법을 넘어 문화론적 생산의 논리로 나아가야 한다. 소설 창작 교육이나 서사 표현 교육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되는 흐름과 관련하여 문학교육에서 생산은 수용을 포월해야 한다. 교육은 명목뿐인 ``상상의 공동체``가 아니라 실질적인 ``상상의 공동체``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과 실천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이론이 실천으로 매개되는 지점, 즉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In this paper I criticize the nove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made of government document. Accomplishing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history of novel education theories in Korean education discourse. The historical issues of novel education started to discover human excellences in literature including novel. But this has been exchanged by the new point of view about the language of literature. The language of literature was regarded as the same essentially of the ordinary language, and this viewpoint has expanded broadly in Korean education. In result,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and the education of writing novel have the importance in the literary education. It is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at has raised the problem. Especially the documentary curriculum is foused as core problem. So I criticized nove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o understand between education theories and practices. Education theories and practices have the relation of ``hermeneutic circle``. Firstly, i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novel education has been taken the wrong way to ``confinement``. This serious phenomenon has to do with the wrong way of literary education in general. Secondly, the original peculiarity of literary has been scattered broadly in Korean education. This can be called the ``dissemination`` of the original peculiarity of literary. On the contrary, the speciality of genr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literary education. Thirdly, the phenomenon of ``de-genre`` in literary education gives rise to the problem of hierarchy of education. The higher literary education, the less elaborate in literary activities by the deductive educational logic. Lastly, the dichotomy of literary acceptance and production in education has the problem. We should break through this cliched dichotomy in literary education, and make discourse about the ``unification`` of literary acceptance and production.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and the education of writing novel should be main stream in literary education. After all, in this paper I suggest the real community of education. To achieve it, we should be interested in the mediation of Korean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including novel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