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248.47
3.21.248.47
close menu
KCI 등재
"학교 독서"의 비판적 검토와 구성 방안
Critical Review and Principles of "Site-Based Reading Program"
김혜정 ( Hye Jeung Kim )
국어교육학연구 30권 195-232(38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8454369

이 연구는 학교 독서 활성화를 위해 학교 독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학교 독서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몇 가지 방향과 아이디어들을 제시했다. 학교 독서가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독서를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각 교과 영역별로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자신의 수준과 취향에 맞는 책을 선정하여 자발적으로 읽도록 해야 하며, 토론을 통해 각기 다른 책을 통해 구성된 의미들을 확장하여 상호 협력적으로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교과 전문가로서 교사들 또한 협력적으로 교과별 핵심 주제와 쟁점들을 선정하고, 그와 관련된 예시 자료로서 독서 목록이나 하위 쟁점들을 기술하는 의사결정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학교 독서가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능동적인 독서 태도를 최대한 진작시킬 수 있도록 섬세하게 배려되어야 하며, 독서 목록이나 독서이력철의 작성 등이 하나의 예시로서, 교실과 학교 환경, 학습자의 요구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되고 수정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site-based reading phenomenon critically, and to propose a few principles in contents-constructing of reading program as a sample. First, they were what teachers plan across-curriculum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contents-area reading, which is able to be called task-based reading program. They were thematic unit-based approach, individualized reading approach and self- selected reading, laying on the contents-area reading. Secondly, they were composed with reading and writing. Procedures of program follow as:First, each curriculum and each grade decide reading-task, which is thinking issues, and is able to be treated by students after reading each material-text. Second, students recognize nature and purpose of task,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contents of curricula, and students decide text type and texts. Third, each student reads by himself and does various activities after reading. for example, thematic unit is constructed by thematic 5 domain. This program will help that across-curriculum activities is revitalized, and student reads and selects text of his own accor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