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97.212
3.142.197.212
close menu
KCI 등재
기획 1 : 중세 라틴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의 이중 언어와 문화 ; 한문 교육 진흥을 위한 독일의 라틴어와 한문 교육 사례 검토
A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of Hanmun: The case of the teaching of Latin and Classical Chinese in Germany
유명인 ( Myoung In Yu )
동방한문학 33권 77-102(26pages)
UCI I410-ECN-0102-2009-820-007511819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수업 목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문 교육이 전통의 계승과 인성의 계발에 도움이 되기는 하겠으나 이것만으로는 한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힘들다. 문어라는 한문의 특성을 잘 살려 한문 교육에 실용성과 미래지향성을 부여해야만 한다. 한문 교육이 한국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의 독해력 향상과 모국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확립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유구한 한문 문학의 전통이 한국어 문학의 진흥에 필요한 비옥한 토양이 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강조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한문 교육의 목표가 단순히 한문의 습득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 위상정립에도 있다는 것을 널리 알려야 한다. 이런 방향으로 한문 교육의 기능을 강화하고 한문 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려면 교육 방법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문이 단지 전통의 寶庫만이 아니라 언어의 보고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 언어학적 방법으로 체계화된 문법을 중심으로 한 수업 방법과 한문의 제이 외국어화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 문법의 정리를 위해서는 한국과 주변국에서 나온 성과뿐만 아니라 서구 중국학계에서 나온 성과도 함께 참고해야 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가 중요하다. 한문 교육의 미래지향적인 방향 설정을 위해 본고에서는 독일 학교의 라틴어 교육과 독일 대학의 고전 중국어 교육을 사례로 검토했다.

For the development and the promotion of the Hanmun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 is an urgent need to question the purpose of the Hanmun curriculum. Hanmun education, as is widely held, is probably conducive to keeping tradition and developing personality, yet this is not enough to create a broad consensus about the need of learning Hanmun. Its nature as a written language will shed light on the fact that learning Hanmun is not only of practical use but also future-oriented. More emphasis must be put on the possibility that it helps students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n as well as other languages an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ir own native language. It must also be emphasized that the long tradition of Hanmun literature can provide a favourable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regard, i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o propagate the idea that the Hanmun education also aims at achieving the establishment of Korean as the literary language. In order to strengthen these functions and reach a consensus of that type, of course,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f Hanmun. Besides, the fact that Hanmun is a repository of language (resources) rather than one of the traditions will have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The traditional methods have reached their limit. In this respect, seriou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application of modern linguistic methods based on the grammar of Hanmun. Furthermore, it might be more adequate that students have an option to learn Hanmu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To this end, the research results from Korea and her neighbours as well as from the field of sinolog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should be consulted. The latter, amongst others, is expected to be a good guide to methodological innovation. In view of all this,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course of the Hanmun curriculum and makes suggestions to the effect by giving some examples from the Latin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on the college level in German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