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200.66
3.138.200.66
close menu
KCI 후보
국어학 : 「V1+(N)+V2」구식(構式)과 결과보어의 래원(來源)
「V1+(N)+V2」construction and the origin of resultative complements
이소동 ( So Dong Lee )
겨레어문학 39권 67-85(19pages)
UCI I410-ECN-0102-2009-810-008432968

본고에서는 上古한어 「V1+(N)+V2」구식의 구식의미를 통하여, 술보구조의 연원과 탄생시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어의 시간순서원칙에 따라 「V1+(N)+V2」구식의 구식의미는 광의의 동작-결과의를 나타내며, 각각의 어법구조에 따라 그 결과의미의 강약에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V1+(N)+V2」구식에 모두 5종류의 어법구조가 출현할 수 있는데, 그 중 시간순서원칙에 위배되는 병렬구조는 고찰범위에서 제외하였다. 4종류의 어법구조 가운데, 주술구조가 현대한어 비사성식 술보구조의 직접적인 연원이 됨은 의론의 소지가 없으며, 본고에서는 주로 사성식이 연동구조에서 비롯되었음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한대의 언어사실을 통해, 동한 때 "주체+V死+객체"의 변형인 "주체+객체+V死"의 구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앞서 서한 때 이미 자동사화 추세에 힙 입어 "노", "타"등의 자동사들로부터 연동구조에서 술보구조로의 점진적인 중신분석이 일어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In ancient Chinese linguistics, 「V1+(N)+V2」constru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 of resultative complements. Based on construction grammar, first we explored the meaning of 「V1+(N)+V2」construction, and then its relationship to the origin of resultative complements was discussed later. In accordance with each syntactic structure, 「V1+(N)+V2」construction produces different action resulative meanings. Especially, "VP+VP" structure and new causative structure have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predicate -complement structure. Through reanalysis in Han Dynasty, a part of "VP+VP" structure was transformed into predicate-complement structure and it turned out to be the direct origin of predicate -complement structure. Therefore, new causative structure from the Period of Six States, which was absorbed to predicate-complement structure in Yuan&Ming Dynasty, has nothing to do with the origin of predicate-complement struc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