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59.195
18.223.159.195
close menu
KCI 후보
현대문학 : 정체성의 우화 -반공 증언수기집과 냉전의 기억 만들기-
Fable of Identity -Anti-Communistic Witness Memorandum and Making Memory of Cold War-
유임하 ( Im Ha Yoo )
겨레어문학 39권 275-308(34pages)
UCI I410-ECN-0102-2009-810-008432584

‘민족지 쓰기(ethnographic writing)’라는 관점에서 보면, 해방 이후 1950년대 중반까지 쓰여진 증언수기집 안에 범람하는 반공 담론은 냉전의 기억의 원점을 이룬다고 할 만하다. 이 시기의 증언수기집이 보여주는 특징 하나는 근대국가의 출범에 앞서 생겨난 혁명적인 시간대 안에서 독특한 문화적 파급력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데 있다. ‘증언’과 ‘수기’라는 말이 뜻하는 것처럼, 수기집에는 문학의 논리보다는 시대와 현실정치의 영향을 받았던 흔적들이 잘 반영되어 있다. 수기에서 다루어진 시간대는 주로 해방 직후부터 정부가 수립되는 1948년을 전후로 한 시기, 그리고 전쟁이 발발하는 1950년 6월부터 서울 이 수복되는 9월말까지의 시기이다. 이 시간대는 혁명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었다. 수기의 기술자들은 그 역사적인 순간과 대면한 문화적 충격을 담아냈고, 이들의 담론들은 반공과 냉전의 자장 속에서 특정한 이데올로기 효과를 발휘했다. 증언수기집의 간행은 시기적으로 한반도에 냉전구도가 안착하는 때와 거의 일치한다. 증언의 방식을 빌려 북한사회의 실상이 반공주의의 관점에서 유포되기 시작한 것은 구체적으로 1946년 5월 이후였다. 이 특정한 시기는 북한에서 전격적으로 실시된 토지개혁 조치와 맞물려 있다. 남한에서는 토지개혁의 열풍을 차단하기위해 이 조치가 지닌 강제력과 급진성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는 한편, 사유경제에 대한 침탈, 자본주의에 입각한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위협과 정치적 도전행위로 추문화했다. 한편, 국가이성이 주도적으로 냉전의 기억을 체계화하는 계기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 발생한 여순사건을 통해서였다. 여순사건을 경험하면서 남한사회는 반공의 이데올로기 규율장치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증언수기집에서 발견되는 반공의 담론은, 민족과 국가, 북한이라는 타자와 그 심상지리들을 창출하는 한편, 전쟁 체험과 중첩되면서 냉전의 기억들로 재구성된다. 따라서, 이는 국가의 공적 기억 형성에 관여한 문학 또는 문학 장의 단서를 제공해준다. ‘지리적 이념적 사회적 정치적 분단’의 경로 안에서 생산된 증언수기집은 문화의 장에서 민족 / 민족주의 담론의 이데올로기 효과를 발휘하면서, 민족을 혈연공동체에서 사상공동체로 만들며 국민을 창출하는 근대국가의 기획의 일부로 동원되었다는 것, 따라서 이들 증언수기집이 전쟁 이후 전쟁에 관한 공공의 기억을 공포와 야만의 기억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북한 및 좌익집단을 타자화했다는 것, 그리하여 민족 / 민족주의의 헤게모니를 장악하며 민족과 국가의 정체성을 창출하는 원천의 하나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같은 정체성의 형성은 폭력과 야만, 타자화와 적대감을 기초로 만들어진 냉전 시대의 어두운 산물이라는 점에서 민족에 관한 알레고리이기도 하다.

The witness memorandums from Korean Liberation to the middle of 1950s could consist of the origin of memories of cold war filled with anti-communistic discourse in terms of ethnographic writing. One of features of these witness memorandums was an example showing the expanding power of culture to be in the period of revolution before modern nation. In terms of meaning of ``witness` and ``memorandum,`` the witness memorandum was reflected the traces influenced by that times and practical politics rather than literary theory. The periods of time in the witness memorandum were mainly from Korean liberation to 1948, when the new government(nation-state) was established, and from June to September. Those times were in welter of the Korean war and the revolution. The writers of memorandum embodied the cultural shock with those historical moments, and the discourse of these writers reveal an effect of a particular ideology in a magnetic field of anti-communistic inclination and the cold-war. The witness memorandum was almost in accord with the structure of the cold-war in Korea. And using the way of witnessing, the real state of North Korea was spreaded after May, 1946 in the light of anti-communistic ideology. The period of May, 1946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land reform of North Korea. South Korea embossed the enforcement and radicalism of that measure to prevent the hot wind of the land reform, and at the same time, it was ill-famed to be the plunderage of the private property, and the threat and political defiance to the democracy of the capitalism. Besides, the opportunity of systematizing the memories of the cold-war mainly in national ideology was through Yeosun breaking up just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in 1948. South Korea went though Yeosun had a chance to take the anti- communist discipline apparatus.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in witness memorandum created the mental images of race, nation, and other called North Korea, and on the other hand, was reorganized the memories of cold-war folded with the experience of Korean war. Thus those gave a clue to the literature and the literary field involved in forming the public image of the nation. The witness memorandum produced in the frame of ``geographical, ideological, social, and politic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vealed the ideological effect of the nation / nationalism discourse in the area of culture, and was exploited to a part of the plan of modern nation helping the race make from a blood relation to an ideological connections. And those memorandum made North Korea and the group of communists the otherness by reorganizing the public memories the recollection of horror and savageness about Korean war, and so became one of the sources created the identity of the race and the nation completely holding the hegemony of nation / nationalism. Such a formation of the identity was an allegory of the Korean nation in that it was darkly produced in the time zone of the cold war fabricated the violence and the wildness, and the otherness and the antagon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